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계정이 있나요? 로그인

You must login to ask a question.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직 계정이 없으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로그인회원가입

고캐드 – 캐드(CAD) 정보의 중심

고캐드 – 캐드(CAD) 정보의 중심 Logo 고캐드 – 캐드(CAD) 정보의 중심 Logo

고캐드 – 캐드(CAD) 정보의 중심 Navigation

  • Q&A
    • AutoCAD & CADian
    • Inventor & Solidworks
    • Revit & ArchiCAD
    • 자유질문
    • 기타
  • 커뮤니티
    • 오늘의이슈
    • 자유게시판
    • 익명게시판
    • 건의게시판
  • 자료실
    • 자료요청
    • 일반파일
    • 도면샘플
    • 유틸리티
    • 기타
  • 작품 갤러리
    • 그래픽
    • 캐드도면
    • 3D모델
    • 기타
  • 뉴스&이벤트
    • 공지사항
    • 뉴스
    • 전시/행사
    • 이벤트
    • 기타
검색
질문하기

Mobile menu

닫기
질문하기
  • 홈
  • 카테고리
    • 자료요청
    • 일반파일
    • 도면샘플
    • 유틸리티
    • 기타
  • 커뮤니티 그룹
  • Q&A
    • AutoCAD & CADian
    • Inventor & Solidworks
    • Revit & ArchiCAD
    • 자유질문
    • 기타
  • 커뮤니티
    • 오늘의이슈
    • 자유게시판
    • 익명게시판
    • 건의게시판
  • 자료실
    • 자료요청
    • 일반파일
    • 도면샘플
    • 유틸리티
    • 기타
  • 작품 갤러리
    • 그래픽
    • 캐드도면
    • 3D모델
    • 기타
  • 뉴스&이벤트
    • 공지사항
    • 뉴스
    • 전시/행사
    • 이벤트
    • 기타

5000분의1 국립지리원 레이어 참고하세용

일반파일
작성자
그렁그렁
작성일
2002-08-09 10:03
조회
1609
인쇄
GIS 표준화 국가기본도 표준초안 (지형도)

제 출 : 국립지리원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표준화분과



목 차

제1장 총칙

1.1 목적 및 필요성

1.2 적용대상 및 범위

제2장 표준화

2.1 지형코드. 도식, 작업방법, 정확도





제1장 총칙

1.1 목적 및 필요성

서로다른 기관에서 제작되고 있는 국가기본도에 표현되는 각종 지형지물의 내용과 지형코드.도식 및 축척별 정확도 등을 표준화 함으로서 범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국가지리 정보시스템 구축 및 각종 주제도 제작시 정확도 및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서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함

1.2 적용대상 및 범위

o. 적용대상

- 지형도

o. 적용범위

- 코드 및 도식

- 작업방법 및 정확도



제2장 표준화

2.1 지형코드.도식, 작업방법, 정확도

지형코드. 도식, 작업방법 및 정확도는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건설교통부령 제17호) 및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국립지리원내규 제 71호)에 의한다.



붙임 : 1.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건설교통부령 제17호)

2.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국립지리원내규 제71호). 끝.





제정 1992. 2. 22 (건설부령 제500호)

개정 1995. 5. 29 (건설교통부령 제17호)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측량법 제6조 및 동법시행령 제3조의 규정에 의하여 동법에 의한 측량 중 컴퓨터를 이용하는 수치지도작성에 관하여 작업방법의 기준을 정하고 코드 및 도식을 표준화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정확성을 높이고 자료의 호환성을 확보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정의 등) ①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수치지도작성"이라함은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도화, 지도입력 등 지형.지물을 수치데이터로 취득하여 목적에 따라 편집하는 것을 말한다.

2. "수치도화"라 함을 측량용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의 지형.지물을 해석도화기 또는 좌표입력장치부착도화기에 의 하여 수치데이터로 측정하여 이를 컴퓨터에 수록하거나 수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위치편집.구조화편집 또는 도면제작 편집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3. "지도입력"이라 함은 이미 제작된 지도 또는측량도면을 수동독취기(디지타이저) 또는 자동독취기(스캐터)에 의하 여 수치데어터로 취득하여이를 컴퓨터에 수록하거나 수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위치편집, 구좌화편집 또는 도면제작편집을 실 시하는 것을 말한다.

4. "표준코드"라 함을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도엽코드, 레이어코드 및 지형코드로 구분되며 국토지형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고 자료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구성한 코드를 말하며 별표와 같다.

5. "표준도식"이라 함은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도형의 형태, 크기, 선호, 구조 및 방향을 정하여 도면의 통일을 기하기 위한 도식으로서 국립지리원장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6. "지리조사"라 함은 정위치편집을 하기 위하여 항공사진을 기초로 도면상에 나타내어야 할지형.지물과 이에 관련되는 사항을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7. "현지보완측량"이라 함은 도화작업이 불가능하거나 필요한 정확도를 유지할 수 없는 지역에 대하여 현지에서 측량을 실시하여 보완하는 작업을 말한다.

8. "정위치편집"이라 함은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에서 얻어진 성과 및 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성과 또는 지도데이터 입력성과를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말한다.

9. "구조화편집"이라 함은 데이터간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위치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는 작업을 말한다.

10. "도면제작편집"이라 함은 지도형식의 도면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정위치편집된 성과를 지도도식규칙 및 표준도식에 의하여 편집하는 작업을 말한다.

11. "원도작성"이라 함은 정위치편집 또는 도면제작편집된 성과를 자동제도장치에 의하여 도면으로 출력하는 작업을 말한다.

② 수치지도 작성에 관한 작업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 규칙에 의하여야 한다.



제3조 (공정별작업순서) ① 수치도화의 공정별 작업은 다음 각호의 순서에 의한다.

1. 작업계획수립

2. 대공표지설치

3. 항공사진촬영

4. 지상기준점측량

5. 사진기준점측량

6.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

7. 도화

8. 정위치편집

9. 구조화편집

10. 도면제작편집

11. 원도작성

12. 수치지도관리대장의 작성

② 지도입력의 공정별 작업은 다음 각호의 순서에 의한다.

1. 작업계획수립

2.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

3. 지도데이터 입력

4. 벡터변환

5. 정위치편집

6. 구조화편집

7. 도면제작편집

8. 원도작성

9. 수치지도관리대장의 작성



제4조 (작업원칙) ① 수치도화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1.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지형.지물 등을 측정하여 그 좌표를 컴퓨터에 수록하여 도화파일을 작성한다.

2. 편집장치(그래픽워크스테이션)를 이용하여 도화파일을 수정하고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자료 등을 추가하여 정위취치편집 을 실시한다.

3. 정위치편집된 성과를 표준도식에 따라 도면제작편집을 실시한다.

4, 정위치편집된 성과를 점.선 및 면의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여 구조화편집을 실시한다.

5. 정위치편집.구조화편집 및 도면제작편집의 성과는 편집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지형정보 및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필요 한 부문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6. 축척은 표준코드에 의한다.

② 지도입력은 다음 각호에 의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1. 수동입력은 수동독취기를 이용하여 지도 또는 측량도면의 지형.지물 등을 독취하여 그 좌표를 컴퓨터에 수록하여 지도데이터 입력파일을 작성한다.

2. 자동입력은 자동독취기를 이용하여 지도 또는 측량도면의 지형.지물 등을 독취하여 벡터데이터로 변환한 좌표를 컴퓨터에 수록하여 지도데이터편집 파일을 작성한다.

3,. 측량도면을 입력한 지도데어터입력파일은 편집장치를 이용하여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자료를 추가.수정하여 정위치편집 을 실시한다.

4. 지도데이터입력파일 또는 정위치편집성과는 표준도식에 따라 도면제작편집을 실시한다.

5. 정위치편집된 성과는 점.선 및 면의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여 구조화편집을 실시한다.

6. 정위치편집 . 구조화편집 및 도면제작편집의 성과는 편집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지형정보 및 속성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필요한 부분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5조 (사용장비) 수치지도작성에 사용하는 주요 기계, 기구와 그 성능 및 기능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해석도화기 또는 좌표입력장치부착도화기

가. 도화축적에 따른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나. 코드의 입력과 기호의 생성이 가능하여야 한다.

다. X,Y,Z 좌표가 수치형식으로 자동기록되어야 한다.

라. 시간간력 또는 거리간격으로 연속측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2. 편집장치

가. 동시에 표시가능한 색의 수는 16색 이상이어야 한다.

나. 화면해상도는 1,024 x 768 필셀이상이어야 한다.

3. 수동독취기

가. 해상도는 1밀리미터당 20선 이상이어야 한다.

나. 정확도는 ±0.2밀리미터이내이어야 한다.

다. 독취범위는 900밀리미터 x 600밀리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4. 자동독취기

가. 해상도는 1인치당 400점 이상이어야 한다.

나. 독취범위는 1천밀리미터 x 600밀리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다. 벡터변환이 가능하여야 한다.

5. 자동제도장치

가. 도곽과 모든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여야 하며, 해상도는 0.1 밀리미터이내 출력오차는 0.38밀리미터 이내이어야한다.

나. 출력범위는 600밀리미터 x 900밀리미터이상이어야 한다.

다. 표준도식에서 정한 모든 선호를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제6조 (도화) 도화는 각호에 따라 작업하여야 한다.

1. 도화는 도엽단위로 하고 별표의 표준도업코드 및 표준레이어코드를 사용한다.

2. 이 규칙에 의한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형.지물의 특성에 알맞는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으로 좌표를 취득한다.

3. 기호는 도화작업시 또는 정위치편집시 부가하며 별표의 표준지형코드 및 표준도식에 따른다.

4. 모델간의 접합은 도화적업시에 실시하며 인접오차가 도상 0.7밀리미터이상일 때에는 다시 도화하여 후속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한다.



제7조 (지도데이터입력) 지도데이터입력은 다음 각호에 따라 작업하여야 한다.

1. 지도 또는 측량도면을 입력할 때에는 신축이 없는 원판을 사용한다.

2. 입력은 표준코드 및 표준도식에 따른다.

3. 수동독취기를 이용하여 입력할 때에는 4점이상의 기준점을 사용하여야 하며, 표정오차는 도상 0.2밀리미터이내이어야 한다.

4. 자동입력작업은 별표의 표준레이어코드에 따라 레이어별로 입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편집장치와 수동독취기를 이용하여 수정한다.

5. 제4호의 규정에 의하여 수정된 벡터데이터에 별표의 표준지형코드를 부가한다.

6. 입력된 지도 또는 측량도면의 접합은 후속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처리한다.

7. 입력이 완료되면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수록한 지도데이터입력파일을 작성한다.



제8조 (입력지도의 점검) 입력이 완료되면 도면을 출력하여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1. 입력작업시 누락. 수평위치 및 표고의 적정여부

2. 선의 훼손여부

3. 접합의 적정여부



제9조 (정위치편집) 정위치편집은 다음 각호에 따라 작업하여야 한다.

1. 정위치편집은 도엽단위로 하고 표준코드 및 표준도식에 따른다.

2. 현지보완측량에서 얻어진 도면은 독취기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3. 현지보완측량의 결과를 수치로 산출한 때에는 수치자료를직접 입력하고 그 결과를 자동제도장치에 의하여 완성도와 동일한 축척으로 출력하여 확인한다.

4. 수동독취기를 이용하여 입력할 4점이상의 기준점을 사용하며, 표정오차는 도상 0.2밀리미터이내이어야 한다.

5. 지리조사성과의 지형.지물은 독취기에 의하여 입력하고 주기는 키보드에 의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6. 현지보완측량 및 지리조사자료는 다른 파일에 보관한다.

7. 정위치편집이 완료되면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수록한 정위치파일을 작성한다.



제10조 (도면제작편집) 도면제작편집은 다음 각호에 따라 작업하여야 한다.

1. 도면제작편집의 축척은 최초로 입력된 축척보다 확대할 수 없다. 다만 국립지리원장이 축척의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도면제작편집은 표준코드 및 표준도식에 따른다.

3. 표준도식에 명기되지 아니한 지형.지물의 취사선택, 수평위치의 전위, 주기의 배치,

난외주기의 작성 및 편집도로의 폭은 지도도식규칙에 따른다.

4. 인접도면의 접합확인은 주기.기호 등 전반적인 것을 편집장치에 의하여 확인한다.

5. 도면제작편집이 완료되면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수록한 도면제작파일을 작성한다.



제11조 (원도작성) 원도작성은 자동제도장치를 이용하여 정위치편집 또는 도면제작편집된

성과를 출력한다.



제12조 (구조화편집) 구조화편집은 다음 각호에 따라 작업하여야 한다.

1. 구조화편집은 정위치편집 지형.지물중 필요한 대상을 점.선.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편집하여 작성한다.

2. 제1호의 경우 정위치파일에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른 점과 선을 이용하여 이를 보완한다.

3. 구조화편집이 완료되면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에 수록한 구조화파일을 작성하며 입력된 속성자료를 포함하는 구조화파일설명서를 작성한다.



제13조 (수치지도관리대장의 작성) 수치지도관리대장은 별지 제2호서식에 따라 작성한다.



제14조 (점검) 작성된 각 파일은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1. 누락.착오의 유무 또는 선의 적정여부

2. 긁힘.얼룩짐 등의 유무

3. 자료상호간의 논리적 관계의 적정여부



제15조 (성과) ① 수치도화의 성과는 다음 각호와 같다.

1.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도화파일

2.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정위치 파일

3.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도면제작파일

4.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구조화파일

5. 수치지도관리대장

6. 구조화파일설명서

7. 출력도면

8. 표정기록부

9. 성과점검표

② 지도입력의 성과는 다음 각호와 같다..

1.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지도데이터 입력파일

2.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정위치파일

3.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도면제작파일

4.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구조화파일

5. 수치지도관리대장

6. 구조화파일설명서

7. 출력도면



부칙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





표준코드

1. 도엽코드 및 도곽

축 척

색 인 도

비 고



1/50,000

경위도 1도 간격으로 분할한 지역에 대하여 다시 15분씩 16등분하여 하단 위도 두자리 숫자와 좌측경도의 끝자리 숫자를 합성한 뒤 해당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 : 15' X 15'



1/25,000

1/50,000 도엽을 4등분하여 1/50,000 도엽코드 끝에 1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 : 7'30" X 7'30"



1/10,000

1/50,000 도엽을 25등분하여 1/50,000 도엽 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 : 3' X 3'



1/5,000

1/50,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50,000 코드 끝에 3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 : 1'30" X 1'30"



1/2,500

1/25,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25,000 코드 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 : 45" X 45"



1/1,000

1/10,000 도엽을 100등분하여 1/10,000 코드 끝에 2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 : 18" X 18"



1/500

1/1,000 도엽을 4등분하여 1/1,000 코드 끝에 1자리 코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도곽의 크기 : 9" X 9"



2. 레이어 코드

레이어 코드는 도엽코드로 분류된 파일의 부속코드로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레이어 코드 내 용

1 철 도

2 하 천

3 도 로

4 건 물

5 지 류

6 시 설 물

7 지 형

8 행정 및 지역 경계

9 주기



3. 지형코드

지형코드는 레이어코드의 부속코드로서 수치지도의 가장 기본적 구성요소로서 대분류.중분류.소분류 및 세분류의 계층구조로 이 루어지며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철도

11 선로

111 실폭도로

1110 미분류

1111 보통철도

1112 특수철도

1113 터널안철도

1114 건설중철도

1115 지하철(지하부)

1116 지하철(지상부)

1117 삭도

112 도면제작용선로(철도)

1120 미분류

1121 복선철도

1122 정거장

12 철도시설

121 철교

1210 미분류

1211 철교

1212 고가부

122 편의시설 및 기타

1220 미분류

1221 플랫폼

1222 플랫폼의지붕

1223 지하철환기통

1224 지하철역출입구





2 하천

21 수부

211 하천

2110 미분류

2111 실폭하천

2112 세류

2113 건천

2114 호수,저수지

2115 하천중심선

212 바다

2120 미분류

2121 해안선(육지)

2122 해안선(섬)

22 하천시설

221 제방

2210 미분류

2211 콘크리트제방(상단)

2212 콘크리트제방(하단)

2213 흙제방(상단)

2214 흙제방(하단)

2215 기호제방

2216 댐

222 방조제

2220 미분류

2221 콘크리트방조제(상단)

2222 콘크리트방조제(하단)

2223 흙방조제(상단)

2224 흙방조제(하단)

2225 기호방조제

223 방파제

2230 미분류

2231 방파제상단

2232 방파제하단

2233 소파블록

2234 기호방파제

224 수문

2240 미분류

2241 수문

2242 배수갑문

2243 보

225 교통

2250 미분류

2251 잔교(콘크리트)

2252 잔교(목재)

2253 잔교(떠있는 것)

2254 선착장

2255 나루(사람)

2256 나루(차량)

2257 나루(노선)

2258 이정표

226 레저,스포츠

2260 미분류

2261 해수욕장

2262 수영장

2263 낚시터

227 용수로

2270 미분류

2271 공업용수로(지상)

2272 공업용수로(지하)

2273 농업용수로(지상)

2274 농업용수로(지하)

2275 도수터널

23 수부지형

231 경계

2310 미분류

2311 갯벌(진흙)

2312 모래

2313 습지

2314 염전

2315 용수구역

2316 집수경계(하수)

2317 수역경계(하천)

2318 댐유역계

232 기호

2320 미분류

2321 갯벌

2322 갯벌

2323 습지

2324 염전

2325 폭포

2326 유수방향

2327 양어장





3 도로

31 도로경계

311 기존도로

3110 미분류

3111 고속도로

3112 일반국도

3113 지방도

3114 특별시도.광역시도

3115 시도

3116 군도

3117 면.리간도로

3118 부지안도로

3119 소로(기호)

312 부속도

3120 미분류

3121 도로분리대

3122 터널안도로

313 건설예정도로

3130 미분류

3131 고속도로

3132 일반국도

3133 지방도

3134 특별시도,광역시도

3135 시도

3136 군도

3137 면,리간도로

314 건설중도로

3140 미분류

3141 고속국도

3142 일반국도

3143 자방도

3144 특별시도,광역시도

3145 시도

3146 군도

3147 면,리간도로

32 도로중심

321 도로중심선

3210 미분류

3211 고속국도

3212 일반국도

3213 지방도

3214 특별시도,광역시도

3215 시도

3216 군도

3217 면,리간도로

3218 부지안도로

33 도로시설

331 배수시설

3310 미분류

3311 측구

332 보행시설

3320 미분류

3321 육교

3322 지하도

3323 계단

3324 인도

3325 횡단보도

3326 안전지대

334 다리

3340 미분류

3341 콘크리트교

3342 강교

3343 목교

335 입체교차부

3350 미분류

3351 고가차도

3352 지하차도

336 편의시설

3360 미분류

3361 공중전화

3362 우체통

3363 휴게소

3364 주차장

3365 주유소

3366 게시판

3367 가로등

3368 자동차수리소

3369 도로반사경

337 기타

3370 미분류

3371 화단,가로수보호대

3372 가로수

3373 터널입구

3374 지하도입구

3375 차단기

3376 신호등

34 표지 및 도로번호

341 정류장

3410 미분류

3411 버스정류장

3412 택시정류장

342 표지

3420 미분류

3421 도로정보판

3422 안내

3423 지시

3424 규제

3425 주의

3426 광고판

343 도로번호(기호)

3430 미분류

3431 고속국도

3432 일반국도

3433 지방도

3434 특별시도,광역시도

3435 시도

3436 군도

344 도로번호

3440 미분류

3441 고속국도

3442 일반국도

3443 지방도

3444 특별시도,광역시도

3445 시도

3446 군도



4 건물

41 경계

411 건물경계

4110 미분류

4111 주택외건물

4112 주택

4113 연립주택

4114 공사중건물

4115 아파트

4116 무벽건물

4117 온실

4118 가건물

4119 집단가옥경계

412 담장

4120 미분류

4121 콘크르트돌담

4122 판자담

4123 생울타리

4124 흙담

4125 철책

4126 문주

42 행정기관

421 지방행정

4210 미분류

4211 특별시청

4212 광역시청

4213 도청

4214 시청

4215 군청

4216 구청

4217 읍사무소

4218 동사무소

4219 면사무소

422 치안행정

4220 미분류

4221 법원

4222 검찰청

4223 경찰청

4224 파출소,지서

4225 교도소,구치소

4226 소년원

423 기타행정 I

4230 미분류

4231 소방서

4232 보건소

4233 세무서

4234 세관

4235 우체국

4236 기상대,측후소

4237 전화국

4238 병무청

424 기타행정 II

4240 미분류

4241 기타관공서

4242 농촌지도소

4243 영림서

425 중요정부투자기관

4250 미분류

4251 한국전력공사

4252 한국통신공사

4253 한국수자원공사

4254 한국도로공사

4255 한국토지개발공사

4256 대한주택공사

4257 한국가스공사

4258 농어촌진흥공사

43 산업

431 공업

4310 미분류

4311 공장

4312 발전소

4313 변전소

432 상업

4320 미분류

4321 시장

4322 백화잠

4323 관광음식점

433 농업 기타

4330 미분류

4331 양수장

4332 배수장

4333 양배수장

4334 취수장

4335 축사

4336 종축장

4337 도축장

4338 정미소

4339 정수장

434 하수처리

4340 미분류

4341 하수종말처리장

4342 공단폐수처리장

4343 축산폐수처리장

4344 농공단지오폐수처리장

4345 간이오수처리장

4346 분뇨처리장

44 문화,교육

441 교육,체육

4410 미분류

4411 학교

4412 유치원,유아원

4413 도서관

4414 체육관

4415 실내수영장

4416 학원

4417 기숙사

442 문화,종교

4420 미분류

4421 교회

4422 성당

4423 절

4424 기타종교시설

4425 박물관

4426 미술관

4427 공회당

443 언론기관

4430 미분류

4431 TV방송국

4432 라디오방송국

4433 신문사

4434 잡지사

4435 CATV방송국

45 서비스

451 숙박

4510 미분류

4511 호텔

4512 여관

4513 콘도미니엄

4514 목욕탕

452 운수,창고

4520 미분류

4521 역

4522 고속버스터미널

4523 시외버스터미널

4524 창고

4525 공항

4526 자동차정비수리소

4527 세차장

4528 주유소

453 금융,조합

4530 미분류

4531 은행

4532 은행

4533 기타금융기관

4534 보험회사

46 의료,후생

461 병원

4610 미분류

4611 일반병원

4612 결핵병원

4613 나병원

4614 정신병원

4615 약국

462 아동복지시설

4620 미분류

4621 육아시설

4622 아동상담소

4623 자립지원시설

4624 탁아시설

4625 영아시설

4626 아동일시보호시설

463 사회복지시설

4630 미분류

4631 양로시설

4632 장애인재활시설

4633 모자보호시설

4634 미혼모시설

4635 노인복지회관

4636 부녀복지관

4637 사회복지관



5 지류

51 경계

511 지류경계

5110 미분류

5111 지류계

5112 경지계

5113 묘지계

5114 산림계

5115 기타경계

52 녹지기호

521 경작지

5210 미분류

5211 논

5212 밭

5213 과수원

5214 목초지

5215 황무지

5216 조림지

522 조경

5220 미분류

5221 잔디

5222 화단

5223 정원수

523 산림

5230 미분류

5231 활엽수

5232 침엽수

5233 혼합림

5234 대나무숲

53 기타기호

531 문화

5310 미분류

5311 묘지

5312 공동묘지

5313 능묘

5314 명승고적

5315 성

5316 유적지

532 체육

5320 미분류

5321 골프장

5322 테니스장

5323 운동장

5324 어린이놀이터

5325 스키장

533 광산

5330 미분류

5331 채석장

5332 토취장

5333 골재채취장

5334 광산

5335 온천

534 매립 기타

5340 미분류

5341 공지

5342 적치장

5343 토사매립지

5344 폐기물매립지

5345 쓰레기매립지







6 시설물

61 경계

611 구조물

6110 미분류

6111 낙석방지책

6112 방호책

6113 차광책

6114 소음방지책

6115 탱크

6116 암거

6117 기타콘트리트구조물

612 수송관(선)지상

6120 미분류

6121 상수도

6122 하수도

6123 송유관

6124 가스관

6125 송전선

6126 통신선

613 수송관(선)지하

6130 미분류

6131 상수도

6132 하수도

6133 송유관

6134 가스관

6135 송전관

6136 통신선

62 목표물 I

621 입상

6210 미분류

6211 기념비

6212 묘비

6213 동상

6214 석등

622 탑

6220 미분류

6221 소방탑

6222 저수탑

6223 취수탑

6224 전파탑

6225 송전탑

623 조명

6230 미분류

6231 조명등

6232 방범등

6233 등대(유간수)

6234 등대(무간수)

6235 유도등

6236 항공등대

624 전주

6240 미분류

6241 전화주

6242 전력주

6243 유선주

6244 공동주

63 목표물 II

631 지하수

6310 미분류

6311 우물

6312 관정

6313 분수

632 저장시설

6320 미분류

6321 저수조

6322 저유조

6323 기타저장조

6324 소화전

6325 소화전(입상)

633 관측소

6330 미분류

6331 수위관측소

6332 유량관측소

6333 우량관측소

6334 수질관측소

6335 파랑관측소

6336 풍향,풍속관측소

6337 대기오염관측소

634 맨홀

6340 미분류

6341 공동구

6342 가스

6343 전화

6344 전기

6345 하수

6346 상수

6347 통신

635 기타

6350 미분류

6351 독립수(활엽수)

6352 독립수(침엽수)

6353 굴뚝

6354 헬기장

6355 지하환기구

6356 풀장

6357 양식장



7 지형

71 등고선

711 볼록지

7110 미분류

7111 주곡선

7112 간곡선

7113 조곡선

7114 계곡선

712 오목지

7120 미분류

7121 주곡선

7122 간곡선

7123 조곡선

7124 계곡선

713 수치

7130 미분류

7131 등고수치

7132 표고수치

7133 삼각점수치

7134 수준점수치

72 지형표현

721 자연

7210 미분류

7211 봉토지

7212 사태지

7213 벼랑바위

7214 너덜바위

7215 동국입구

7216 능선

7217 표고점

722 인공

7220 미분류

7221 성토(상단)

7222 절토(상단)

7223 성절토(하단)

7224 콘크리트옹벽(상단)

7225 콘크리트옹벽(하단)

7226 석축(상단)

7227 석축(하단)

7228 경사보호망

73 기존점

731 국가기준점

7310 미분류

7311 삼각점

7312 수준점

732 항측기준점

7320 미분류

7321 평면기준점

7322 표고기준점

7323 사진기준점

733 기타기준점

7330 미분류

7331 지적

7332 수로

7333 기타

7334 도곽선

7335 격자



8 행정 및 지역경계

81 행정경계

811 행정경계선

8110 미분류

8111 국경

8112 특별시,광역시,도

8113 시

8114 군

8115 구

8116 읍

8117 동

8118 면

8119 리

82 지역(구역)경계

821 산업지역경계

8210 미분류

8211 국가공업단지

8212 지방공업단지

8213 농공단지

8214 축산단지

8215 국토계획관련지역

822 환경지역경계

8220 미분류

8221 자연환경보전지역

8222 자연생태계보전구역

8223 상수원보호구역

8224 개발제한구역

8225 환경보전을 위한 특별대책지역

823 관광문화지역경계

8230 미분류

8231 문화재보호구역

8232 관광단지

8233 위락단지

824 주거지역경계

8240 미분류

8241 외국인주거지역



9 주기

91 지형,지물

911 도로

9110 미분류

9111 도로

9112 유료도로

9113 도로시설

9114 다리

9115 터널

9116 행선지명

912 철도

9120 미분류

9121 철도

9122 철도시설

9123 철교

9124 터널

9125 행선지명

913 하천

9130 미분류

9131 하천

9132 세류

9133 하천시설

9134 지하수로

914 건물

9140 미분류

9141 지방행정기관

9142 치안행정기관

9143 기타행정기관

9144 산업시설

9145 문화,교육시설

9146 서비스시설

9147 의료, 후생시설

915 지류

9150 미분류

9151 식생

9152 평야, 들

9153 산, 산맥

9154 변형지물, 바위

916 시설물

9160 미분류

9161 구조물

9162 목표물

92 행정지물

921 도시지역

9210 미분류

9211 특별시

9212 광역시

9213 도

9214 시

9215 구

9216 법정동

9217 행정동

922 농어촌지역

9220 미분류

9221 도

9222 군

9223 읍

9224 면

9225 리

9226 자연부락

923 지역(구역)명

9230 미분류

9231 산업관련지역명

9232 환경관련지역명

9233 관광,문화관련지역명
전체 0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소셜 로그인
naver kakao google
« 국립지리원 레어어
파워캐드21 한글 패치는 없나여 »
목록보기
전체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사항
[공지] 글꼴은행 - 캐드 글꼴 442종 압축 파일 NOTICE
gocad | 2022.09.01 | 조회 97941
gocad 2022.09.01 97941
13782
dxf파일 오픈 오류 수정 쫌 부탁드리겠습니다
오또기 | 2025.05.14 | 조회 33
오또기 2025.05.14 33
13781
arcbig03.shx 폰트 요청드립니다
아빠의전설 | 2025.04.23 | 조회 133
아빠의전설 2025.04.23 133
13780
캐드 한글 폰트를 만들었습니다.
준 | 2025.04.10 | 조회 254
준 2025.04.10 254
13779
블록 이름 다 똑같이 맞출 수 있는 리습 있을까요?
이민성 | 2025.04.08 | 조회 180
이민성 2025.04.08 180
13778
갠트리크레인 도면 "급" 구합니다
샤인 | 2025.04.01 | 조회 209
샤인 2025.04.01 209
13777
스크린 골프장 도면을 부탁드립니다!
썐206 | 2025.03.28 | 조회 269
썐206 2025.03.28 269
13776
ISO LISP 또는 프로그램 부탁드립니다.
박기범 | 2025.03.14 | 조회 506
박기범 2025.03.14 506
13775
GSG1 글꼴
오인권 | 2025.03.14 | 조회 475
오인권 2025.03.14 475
13774
아파트 현관 신발장 상세도 부탁드립니다
다큐3일 | 2025.02.13 | 조회 519
다큐3일 2025.02.13 519
13773
굵은돋움체(Takeo) 부탁드립니다.
박기석 | 2025.02.04 | 조회 546
박기석 2025.02.04 546
13772
소방 배관. 피팅. 밸브 도면 모음집 있으시면 주시면 안딜까요? ㅜ.ㅜ
고고고태 | 2025.01.15 | 조회 785
고고고태 2025.01.15 785
13771
판금전개 리습 공유
김다래 | 2025.01.10 | 조회 810
김다래 2025.01.10 810
13770
CadPlus_Plot ( 멀티플롯 / 일괄출력 / 외부파일 출력) (5)
캐드플러스 | 2024.12.27 | 조회 980
캐드플러스 2024.12.27 980
13769
캐드 기초 연습도면 부탁드립니다 (1)
홍보석 | 2024.12.23 | 조회 882
홍보석 2024.12.23 882
13768
승마장 도면 구합니다!!
연세찬 | 2024.12.02 | 조회 659
연세찬 2024.12.02 659
13767
자동차 등각도면 구합니다
김성훈 | 2024.11.22 | 조회 697
김성훈 2024.11.22 697
13766
카페 평면, 단면 등을 구합니다
박민지 | 2024.11.17 | 조회 689
박민지 2024.11.17 689
13765
소형창고도면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풀나무 | 2024.11.16 | 조회 781
풀나무 2024.11.16 781
13764
라인 길이의 합
전경삼 | 2024.11.14 | 조회 737
전경삼 2024.11.14 737
13763
acaddoc.lsp구합니다. (1)
김상동 | 2024.09.06 | 조회 957
김상동 2024.09.06 957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마지막
Powered by KBoard

Sidebar

질문하기
공지사항

  • AI CAD의 미래! 캐디안 2025 1+1 프로모션 안내 2025-05-14

Adv 234x60

aalan

Adv 234x60

aalan

Adv 120x600

aalan

Explore

  • 홈
  • 카테고리
    • 자료요청
    • 일반파일
    • 도면샘플
    • 유틸리티
    • 기타
  • 커뮤니티 그룹
aalan

Footer

Support

  • 회사 및 서비스 소개
  • 자주 묻는 질문
  • 문의하기

Guide

  • 제휴/협업 안내
  • 광고 서비스 안내

Policy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광고성 정보 수신 동의

Contents

  • 고밍스토리
  • 리습 시리즈

정소프트 | 사업자등록번호 : 677-40-00198 | 대표 : 정은숙 | 이메일 : gocad.manager@gmail.com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400-12, 6층 614,615,617호(등촌동, 더리브골드타워)
Copyright. 2012-2024 GOCA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