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선 라인에 끊어진 라인이 3개 이상의 복수로 연결되어 있는경우
연결 할수 잇는 기능이 있을까요
가지고 있는 LISP 경우 2개의 선까지만 연결이 되네요.
공유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You must login to ask a question.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직선 라인에 끊어진 라인이 3개 이상의 복수로 연결되어 있는경우
연결 할수 잇는 기능이 있을까요
가지고 있는 LISP 경우 2개의 선까지만 연결이 되네요.
strlen 이 문자수를 구하는 명령인걸로 알고있는데요.
예를 들어
(setq a (strlen “abc”))
하면 a 는 3 이 되는 건데요.
한글의 경우 2bit라 만약
(setq a (strlen “오토케드”))
라고하면
a는 8로 출력이 되서요….
한글이던 영문이던 숫자던 공백이던
순수하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갯수를 알아낼수 있는방법이 있을까요?
문자열이 ” 오토케드 2016″ 이라면 한글과 공백 숫자가 섞여있어서 문자 영역의
폭을 계산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해서 문의드립니다.
아..그런 방법이 있었군요…감사합니다. 힌트를 얻었습니다.
JOIN 명령어는 어떤가요??
“직선 라인에 끊어진 라인이 3개 이상의 복수로 연결되어 있는경우” << 잘이해 못하겠어요..
(defun c:kkk()
(setq ob (ssget))
(command “pedit” “m” ob “” “y” “j” “” “”)
)
;선이 라인일경우이고 폴리라인은 중간에 “y” 옵션을 빼면 될것 같습니다.
잘 안되면 쪽지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