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에서 작업한 파일에 락을걸어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하드락이란 것이 있는데 이때 하드락은 acad.exe 실행파일을 copy해 암호화된 acad.exe 파일을 만들는데 이때 원본 실행파일을 다른이름 또는 삭제하고 암호화된 실행파일을 실행시키면 이때 작업한 파일들은 모두 자동으로 암호가 걸린채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원본 캐드 프로그램에서는 파일을 열어볼수 없습니다. 또한 이미작업한 파일들에 대해서는 암호화된 실행파일에 확장자를 첨부해 암호화 하면 원본 파일에 대하여 암호화된 파일이 만들어지는데 이것 역시도 원본 캐드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수 없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암호화된 파일은 하드락에의해 보안이 유지되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데이터 보안이지만 일종의 버그라고 할까 파일명을 한글로 저장시 [가.대.글.혀(확인된것)]자가 들어간 파일들에 대해서는 바로 open이 되지 않고 recorver 명령에 의해 복구한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해야하는 불편한 점을
발견할수 있었습니다. 근 한달간을 이 부분에 대해 연구를 해 보았지만 해결책이 없어 혹 아시는 분은 알켜주세요. 물론 영어로 저장시엔 아무런 문제가 없고 프로그램 로딩속도, 파일 입출력속도, 랜더링 속도 등 모든 문제가 없는데 유독 한글 저장시에만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