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는 제가 기존자료를 수정하여 만든것입니다.
일단 제가 아는 지식을 나열하면서 질문을 하겠습니다. 오류 지적부탁드립니다
1) 토목 캐드는 [모형]에서 1:1(m법)으로 작업하여 [배치]에서 출력을 위해 scale을 조정하지 않습니까
2) 그런데 이때 전체 도면의 크기가 축적에 영향이 있습니까?
예로 420+297인 A3가 기본이라 들었는데 그러면 전체 도곽이 100배 커져있는 상태먄{배치의 도곽그림}
기존 치수들도 100배씩 꼭 크게 그려야합니까?
3) 도곽안은 원래 1:1200인데 오른쪽에 제가 옮기고 이제 수정하여 1:1000을 했는데
저는 수정할때 1:1200을 먼저 1200곱하구 나누기1000했는데 이 방법이 맞나요?
4) 만일 2번질문이 맞아서 기본도곽틀이 100배 커지면 안에 내용물들도 100배 커지다면
이거 단순히 단위 바꿀려고 이런 작업을 하는건가요?
5) mv로 안에 그림설정한 것들을 특성창에서 축척건들리면 그게 바로 해당 축척인가요?
연말이 끝나가네요. 다들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연말 잘 마무리 하세요
(왜인지 계속 복구뜨네요 파일열면,, 이거 어케 안뜨는 방법있나요)
(파일은 제가 지시받아서 기존 파일을 수정하여 가배수로 추가한 겁니다)
공유
1) 도면은 1:1로 그리고 배치에서 뷰프트의 축척으로 조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축척이 1:1200 이면 뷰포트 축척을1:1200로 하면 되구여…배치의 도곽도 1:1
그리고 배치의 출력은 1:1로 하면 됩니다….축척이란 출력했을 때의 축척일뿐이죠!
주석축척을 활용하면 문자 크기, 해치 간격, 심벌크기 등을 모든 뷰포트 축척에서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복구 메시지가 뜨는 것은 아마, 글꼴 때문일겁니다.

글꼴 교체한 도면 첨부하니, 참고해보세요!
감사합니다. 도움얻어갑니다
답변을 기준으로 조금 건드려보니 이제 뷰포트에서 축척조정법이 감이 오네요.
그런데 도곽이 100배 튀겨지면 뷰포트도 100 튀겨져서 계산해야하네요.
일단 축척 검토는 가배수로가 3.6으로 노리했는데 모형이 3.6이고
뷰포트에서 사용자축척 100해서 재보니 360.8로 맞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