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말로만 듣던 캐드를 보았습니다.
캐드 본지 어언 이틀
주위에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답답 합니다
저는 영문 윈도 2000프로에
영문 캐드2000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그릴실력이 안돼서
기존에 있던 도면을 출력하려는데
한글이 계속 깨져 나옵니다.
물론
여러가지 한글 폰트로 해보았는데
한글이 나오기는 하지만 일부의
한글이 계속 깨져나와 난감 합니다.
!!!!!!!!!!!!!
근데요
고은글 등의 폰트를 깔기전에는
modify 에서 edit text 하면은 글자가 제대로 보이더라구요
그래서 폰트를 깔고난후 보니까 글씨가 제데로 떴습니다.
폰트를 깔아도
일부의 글자가 깨졌는데 modify 에서 edit text를 하니까
이번에 글자가 깨져 나옵니다.
이런것은 어떻게 해야 제데로 나올수 있습니까?
의심이 가는것은 영문 윈도와 영문 캐드인데………….
도대체 무슨 문제가 있는줄 모르겠습니다.
여러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아마 그럴때는 서로 폰트가 틀려서 그럴거예요..
글자체가 다 똑같지는 않거든요…
깨지는 글자체를 않깨지는 글자체로 바뀌던가요..아님 다른 글자체로 바꾸
세요…
만약 폰트가 뭔지 알면 다시 글을 올려주세요..
폰트를 띄여 들이죠…
그럼…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요
폰트를 아는 방법을 모르겟어요
무슨 폰트인지 어떻게 알죠
,,……..
캐드인구가 많아지는것같아 정말 뿌듯합니다.
한글이 깨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캐드옵션에서 시스탬폴더에있는 font root를
설정하지않아서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님의 경우에는 영문윈도우를 써서 그 font를 원천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있습니다(->이 경우에는 한글윈도우로 바꿔주심이 좋지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진한글,참한글,멋진글,깨비글,고은글과 같은 고가의 캐드용 font를
쓰는 경우가 종종있는데 이런것은 CRT상에는 보이지만 plot시에는 깨져서나오는
즉 윈도우 응용시스탬내에서의 구성되지 않는 ole를 사용하기때문인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게의 경우에는 99%가 font 루트를 정해주지 않는 결과에서 옵니다.
전체적인 text style을 변경하고자 하면 lisp을 사용해도 괜찮을 듯싶습니다.
대표적인 changer로는 ‘chtext’ 즉 cht가 가장 좋겠지요…
두서 없는 글로서 머리를 어지럽게 해드리지 않았나 싶군요 끝으로 캐드를
잘 하고자 하신다면 핫키와 단축명령어(acad.pgp)를 내 손에 맞게 변경하는 것이
최고로 가는 길일 것입니다.
아이고 진짜루 끝내야겠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