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들어
210*297크기의 도면에서 치수의 크기가 2라면
297*420크기의 도면에서 치수크기는 3…으로 정해진..
이직한지 얼마안되는 현재근무중인 곳에서는 이런식으로 정해진걸 메모해두고 썼었는데
컴터업글하면서 깜빡하고 지워버렸네요.
전임자에게 물어보니 산업기사양식을보고 메모한거라고 하던데…
혹시 아시는분~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A0
841 x 1189
A1
594 x 841
A2
420 x 594
A3
297 x 420
A4
210 x 297
A5
148 x 210
아래부터 위로 1, 2, 3 ….이겠네요. 이런것도 메모해서 쓰나요;;;
저는 기계제도를 했으므로 관련되어 제가 알고 있는 것을 말씀드리죠
지금은 캐드로 인해 규칙에 구애를 받지 않지만
예전에는 제도 용지에 손으로 그렸기에 글자 크기나 형태를 국가 규격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었고
지금까지 그때 표준으로 지정된 것이 어어져 오는 것 입니다.
제도통칙은 1966년 KSA 0005로 기계제도는 1967년 KS B 0001로 제정되었습니다.
기계제도의 도면용지는 윗분이 말씀한대로 A0~A5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었으며
테둘이의 간격이나 표제란의 크기도 축척의 선택도 어느정도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글자크기는 실제용지로 출력했을 때 의 크기가 기준이며
고딕체로 수직 또는 75도
한글은 10, 8, 6.4, 5, 4,3.2 2.5 mm 의 7종
영문은 10, 8, 6.4, 5, 4,3.2 2.5, 2 mm 의 8종
치수화살표는 길이 3mm에 폭1mm
치수숫자는 5 ,4, 3.2 mm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용지로 출력했을 때 기준이므로 캐드에서 글자 크기와는 다를수 있습니다.
너무 규칙에 구애받지 마시고
해당 용지에 실제 출력했을 때 보기 좋은 글자와 치수크기를 체크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A4 가로 양식, 세로양식, A3 가로양식 을 만들어두고 블록으로 저장해둠니다
그리고 그걸불러와서 쓰지요 이점은 블럭상태로 스케일을 이용해서 확대하면 스케일 정리가 편해요
예로들면 물건을 하나그렷는데 이것을 몇스케일로 해야될지모를때 블럭을불러와서 대충확대해봄니다 2배 3배 이런식으로 그럼 들어가는사이즈가 나올텐데 만약 4배에서 들어가면 인쇠했을때 그도면 은 1:4로 되는것입니다
그리고 양식이 고정되어있으니 이상하게 망가지거나 하지도 않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