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바이러스 치료를 했는데도 파일실행을 하면 같은 폴더내에 acad.lsp파일이 생성됩니다.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초짜케드Lv.0
바이러스 치료를 했는데도 계속 acad.lsp파일이 생성되네요.
공유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네트워크 사용하시나봐요??????
그 실행한 파일 자체가 문제 있는거 아닐까여?
그 파일을 보고 싶은데 …
캐드 바이러스는 경로복사 특성때문에, 본인 하드의 바이러스만 치료해서 해결되는게 아닙니다.
바이러스가 있는 공유폴더를 열어본 모든 직원컴퓨터에도 100% 감염되어 있을겁니다.
이누노님 말씀처럼 네트워크나 스토리지로 공유해서 작업하신다면, 본인 컴퓨터만 치료해서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 대부분 이러한 감염경로를 인식하지 못하고, 치료해도 또생긴다고
말씀하시는분들이 꽤 많으시지요…기존 수동방법과 프로그램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http://www.sentools.co.kr 쎈큐어 를 참고 하세요. 쎈큐어는 엔진업데이트를 통해
변종 바이러스도 즉각 대응하고, 원격지원으로 의뢰자분의 캐드바이러스 감염유무를 무료로
검토 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해결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