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저는 회사에 다닌지 얼마 안되는 신입사원 입니다.
그래서 궁금한것들이 있어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고수님들의 자세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먼저 스케일에 관한 질문인데요~
예를 들어~ 1:20인 도면에서는요 1:1 도면에서 스케일을 20배 키워서
그리는 것이 맞나요?? 그러면 스케일이 1:20인 도면같이 스케일이 정해진
도면에서는요 치수는 맞춰서 하는건가요?
만약에 스케일 1:20 도면에서 500*400 짜리 사각형을 그려야 한다면
그대로 500에 400 똑같이 쳐서 하는 건가요??
그리고요~스케일이 NONE일때 있자나요~ 그건 스케일에 상관없다는 거 맞나요??
그럼 그 안에 치수들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스케일은 상관 없지만 치수들은
맞추어야 하나요?? 1:1도면으로 그리려고 하는데 폴리선을 그릴라고 하는데
치수가 705인데 도곽을 벗어나서 그려지는데요~그럼 스케일을 키워서 그려야 하나요??
그리고 스케일을 키워서 그렸다가 다시 1:1도면으로 돌아오면 치수들은 자동으로
작아지진 않은가요??
너무 지저분하게 물어봐서 죄송합니다…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공유
도면은 1:1로 그리는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도면에선 보통 1:1로 그리는것을 기본으로 하고요.
출력할때 1/20이던지 1/50등으로 줄여서 출력하게 되는겁니다.
한마디로 1/100, 1/200 이런 도면들도 캐드 도면 열어보시면 1:1로 작도 되어 있을것입니다.
도곽을 벗어난다 하셨는데 도곽을 키워서 작도 하심 되겠네요^^
도움이 별로 안됐죠? ^^ 옆에 있다면 잘 갈켜 드릴수 있는데 ㅎㅎ 좋은 하루되세요
1)처음 도곽이 없는 상태에서 1:1 로 작도를 합니다.
2)작도가 끝나면 도면의 크기를 A0,A1, A2, A3, A4등 어떤 크기로 할 것인가 결정을 합니다.
3) 도면 크기를 A2로 정했다면 가로 방향으로 최대 594mm가 되겠죠?(물론 외형선등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550mm 내외가 되겠지만,
4)다음 도곽없는 상태에서 1:1로 그린 도면의 크기를 측정해봅니다. 예를 들어 가로 5500mm, 세로 3500mm 정도의 공간을 차지 했다고 합시다.
5)결국 도면 스케일은 5500/594= 1/9.26정도가 되는데 사용하는 스케일이 아니므로 가장 근접한 1/10으로
선정합니다.
6)다음 회사마다 도곽 폼이 미리 만들어 져 있을 겁니다. (회사로고, 도명,도번등을 기록할 수 있는 것)도곽폼을 불러와서 이것을 전체 지정후 축척을 10배로 확대 하면 됩니다.
7)그 다음 도곽 폼 안에 처음 1:1로 그린 도면을 이동 시키거나 복사하여 붙여 넣기 하면
A2 안에 들어 갈 겁니다.
8) 그리고 난뒤 주석의 칫수 스타일등을 변경하여 작업을 마무리 하면 되는 겁니다.
지금 까지 설명은 기계 부문 CAD의 경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