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1200 지적도와 6000 지적도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1:1로 스캔을 했습니다. 래스터 이미지를 캐드상으로 불러 올때 이미지대화창에
첫번째 질문)
삽입점 축척 회천 이렇게 3개의 항목이 있는데.. 여기 글에서 본 봐로는,..
이미지를 불러 올때 축척 항목을 체크 해제 하고 (1이라고 기본값) 불러와서 화면에 아무곳이나 클릭하고 scale 명령어를 이용 지적도에 나와 있는 스케일데로 scale 명령어를 이용하여 스케일을 주는걸로 알고 있는데..
지금 회사에 있는분께선 이미지를 불러올때 축척항목에서 지적도에 나와 있는 스케일 데로 수치를 입력해도 된다고 했는데 그렇게 했는 경우 제가 화면에서 스케일 준도면과 불러올때 축척 항목에서 스케일값 예)1200이면 1.2 이렇게 준 도면의 거리를 비교해보면 그냥 화면으로 불러와서 준 도면의 거리값을 거의 흡사하고 축척항목에서 수치를 준 도면의 거리값은 소수점 자리로 나오는 데 어느것이 정확 한가요?
두번째질문) 그리고 출력)플롯을 할때 플롯대화창에 보면 플롯영역 옆에 플롯 축척이 있는데 이개념을 확실히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건 축척을 주고자 할때 (용지에 맟춤 체크) 풀고 사용자로한 상태에서 단위는 1밀리미터로 하고 밑에 칸에는 1200스케일 출력이다라고 치면 1.2,6000출력이다라고 치면 6이라고 치고 플롯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처음 불러올때 이미지대화창에 있느 축척 항목에서 지적도 스케일을 입력하고 플롯으로 출력할때 같은 스케일 값 예를 들어 1.2로입력하고 이미지를 불러 왔을 경우 플롯으로 출력할때 단위값을 1.2로 하면 1200스케일로 출력이 되는건가요?
이것 때문에 미치겠네요 제가 아직 신입이고 경력도 없는데 회사에서 이걸 확실히 모르고 오히려 저한테 물어 보고 있으니;;;; 할떄마나 여기 검색 질문을 이용해서 혼자 해결 하면서 일하고 있습니다 확실한 답변 부타 드립니다.
첫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먼저 드리죠. 가장 정확한 방법은 오토캐드 map나 map 3d 시리즈의 map 메뉴중 tools 항목에 있는 rubber sheet 기능을 이용해서 와핑 시키는 방법이 있고…
raster design이라는 오토데스크사에서 제작한 캐드 기능 확장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더더욱 정확합니다.
두번째 질문은 일단 지적도 작업을 하시는 것 같으니 거기에 맞춰서 설명 드리자면 모든 수치 지도나 지적도는 1:1000의 스케일로 그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플롯 메뉴의 축척 항목에서 1:1 값을 주고 출력을 하게 되면 그게 1:1000 도면이 되는거구요. 1:25값을 주고 출력하면 1:25000 도면이 되는겁니다.
그리고 1:500의 축척으로 출력을 하고 싶으시면 1:0.5라는 값을 주면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