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층제조(AM : additive manufacturing) , 적층가공 이라고 불리는 3D 프린팅 산업은 크게 5가지로 구분 됩니다. 1. 3D 스캐너 2. 3D 모델러 (CAD) 3. 3D 프린터 4. 3D 프린팅을 위한 소재 5. 3D 프린팅 유통/서비스
AM은 쌓아가는 기술이므로, 정통적인 금형제작 방법인 절삭가공과는 완전히 반대적인 개념입니다. 금형기술로는 만들기 어려운 것을 쌓아가는 기술로는 무슨 모양이든지 제작 가능합니다,
현재 기술로는 3D프린터로 출력하는 소재 즉 잉크 대신 출력할 소재에 한계가 많은 게 사실입니다. 대체로 액체 플라스틱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소재와 프린터 기기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1. 액체 Chocolate를 출력하여 쵸코릿을 만들 수 있고, 2. 체내의 세포 및 줄기세포를 배양한 소재(바이오 잉크)를 출력하여 방광, 혈관, 신장 등을 만들며, 3. 인산 칼슘, 규소, 아연 물질 등을 출력 시에 잘 혼합시켜 인공뼈를 만들기도 합니다. 4. Object Digital material 을 소재로 출력하면, 한 번에 여러 재료와 칼라를 사용할 수 있어서 색상, 재질 및 속성을 표현 가능할 뿐 아니라 5. 3D 프린터 전용의 고무를 출력하면 운동화도 제작 가능합니다. 6. Hot Glue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고 7. 모래를 출력하여 복잡한 건축물, 피규어, 캐릭터 모델 등을 제작하기도 합니다. 8. 유리를 출력하여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9. 약(medical) 성분을 혼합하여 질병에 최적화된 의약품을 생산하며 10. 잉크 대신에 Bio 피부를 출력하면 피부 재생도 가능합니다. (아래 그림)
이와 같이 앞으로 소재 산업이 더욱 활발하게 발전하면 무엇이든지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증기기관, 컴퓨터에 이어 제3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고 있는 산업이 바로 3D 프린팅(적층 가공) 입니다.
이 기술은 1984년도에 이미 소개된 기술이지만, 2014년2월에 30년간 묶여 있던 특허 기술이 해지되면서 2014년3월부터는 다양한 프린터 기기들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미래가 매우 밝은 기술인 게 자명합니다. 1:1 맞춤형 등에 특히 유리한 기술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금형 기술에 비해 대량 생산하는데 있어서 한계 (느린 출력 속도), 디자인 제품의 위변조 등으로 특허 문제 발생 등 풀기 어려운 게 난제들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하지만 3D프린팅 산업은 이제 그 시작인 관계로 인해, 우리의 미래 삶을 바꿔 놓을 획기적인 기술로 보는 게 일반적 견해 입니다. 최근 3D시스템즈의 실적 저조 등으로 스트라타시스 등 세계 1, 2위 3D프린터 제조사의 주식이 크게 떨어지면서 3D 프린팅은 거품이라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지만, BIO 등 산업에서 꿈 같은 게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등 전체적으로는 긍정적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3D 프린터로 출력할 대상물 즉 3D모델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결국 3D 캐드에 의해 생성됩니다. 3D프린팅 시장이 커질 경우, 3D 캐드가 현저하게 가격 다운이 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사례1 : 미국, 영국에서 어떤 신제품을 수입하는 게 아니라, 내가 원하는 모델을 웹사이트 에서 신용카드로 결재하고 그 모델 파일을 바로 내려받은 후, 집에 있는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세상이 곧 도래합니다.
사례2 : 위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그냥 출력하지 않고, 내가 잘 사용하는 캐드에서 일부 수정하여 내 스타일에 맞는제품으로 출력합니다. 특화 제품
사례3 : 특정 제품을 3차원 스캐너로 스캔한 뒤에, 내가 잘 다루는 캐드 툴로 수정할 수도 있고
사례4 : 무한상상을 통해 내가 원하는 모형을 3차원 디자인하여 출력합니다. 결과적으로 내 집이 공장이 되는 셈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운송 물류 시스템과 유통 서비스 시장도 확 바뀔 공산이 큽니다.
* 물론 잉크젯 프린터를 각 가정에 1대씩 갖고 있듯이 3D 프린터를 거의 모든 가정에 1대 보유하게 될 경우입니다. 현재 저렴한 FDM(열에 녹는 고체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를 실타래처럼 뽑아 이것을 조금씩 녹여가며 쌓는 방식) 방식의 3D프린터가 약 80~175만원 선인데, 앞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게 명약관화 하므로 아마도 1년 안에 약 50만대 이하의 경제적인 3차원 프린터 기종이 우리들 앞에 선을 보일 것입니다.
3D 출력 대행사가 시내 곳곳에 생길 것이므로, 대행사에서 고품질3D프린터로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SLA, DLP 방식의 고사양 프린터(고품질 고속)는 1대당 2억원이 되기도 합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3D프린팅 산업은 블루오션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하겠습니다.
적층제조(AM : additive manufacturing) , 적층가공 이라고 불리는 3D 프린팅 산업은 크게 5가지로 구분 됩니다.
1. 3D 스캐너
2. 3D 모델러 (CAD)
3. 3D 프린터
4. 3D 프린팅을 위한 소재
5. 3D 프린팅 유통/서비스
AM은 쌓아가는 기술이므로, 정통적인 금형제작 방법인 절삭가공과는 완전히 반대적인 개념입니다.
금형기술로는 만들기 어려운 것을 쌓아가는 기술로는 무슨 모양이든지 제작 가능합니다,
현재 기술로는 3D프린터로 출력하는 소재 즉 잉크 대신 출력할 소재에 한계가 많은 게 사실입니다.

대체로 액체 플라스틱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소재와 프린터 기기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1. 액체 Chocolate를 출력하여 쵸코릿을 만들 수 있고,
2. 체내의 세포 및 줄기세포를 배양한 소재(바이오 잉크)를 출력하여 방광, 혈관, 신장 등을 만들며,
3. 인산 칼슘, 규소, 아연 물질 등을 출력 시에 잘 혼합시켜 인공뼈를 만들기도 합니다.
4. Object Digital material 을 소재로 출력하면, 한 번에 여러 재료와 칼라를 사용할 수 있어서 색상, 재질 및 속성을 표현 가능할 뿐 아니라
5. 3D 프린터 전용의 고무를 출력하면 운동화도 제작 가능합니다.
6. Hot Glue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고
7. 모래를 출력하여 복잡한 건축물, 피규어, 캐릭터 모델 등을 제작하기도 합니다.
8. 유리를 출력하여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9. 약(medical) 성분을 혼합하여 질병에 최적화된 의약품을 생산하며
10. 잉크 대신에 Bio 피부를 출력하면 피부 재생도 가능합니다. (아래 그림)
이와 같이 앞으로 소재 산업이 더욱 활발하게 발전하면 무엇이든지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증기기관, 컴퓨터에 이어 제3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고 있는 산업이 바로 3D 프린팅(적층 가공) 입니다.
이 기술은 1984년도에 이미 소개된 기술이지만, 2014년2월에 30년간 묶여 있던 특허 기술이 해지되면서 2014년3월부터는 다양한 프린터 기기들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미래가 매우 밝은 기술인 게 자명합니다. 1:1 맞춤형 등에 특히 유리한 기술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금형 기술에 비해 대량 생산하는데 있어서 한계 (느린 출력 속도), 디자인 제품의 위변조 등으로 특허 문제 발생 등 풀기 어려운 게 난제들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하지만 3D프린팅 산업은 이제 그 시작인 관계로 인해, 우리의 미래 삶을 바꿔 놓을 획기적인 기술로 보는 게 일반적 견해 입니다. 최근 3D시스템즈의 실적 저조 등으로 스트라타시스 등 세계 1, 2위 3D프린터 제조사의 주식이 크게 떨어지면서 3D 프린팅은 거품이라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지만, BIO 등 산업에서 꿈 같은 게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등 전체적으로는 긍정적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3D 프린터로 출력할 대상물 즉 3D모델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결국 3D 캐드에 의해 생성됩니다. 3D프린팅 시장이 커질 경우, 3D 캐드가 현저하게 가격 다운이 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사례1 : 미국, 영국에서 어떤 신제품을 수입하는 게 아니라, 내가 원하는 모델을 웹사이트 에서 신용카드로 결재하고 그 모델 파일을 바로 내려받은 후, 집에 있는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세상이 곧 도래합니다.
사례2 : 위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그냥 출력하지 않고, 내가 잘 사용하는 캐드에서 일부 수정하여 내 스타일에 맞는제품으로 출력합니다. 특화 제품
사례3 : 특정 제품을 3차원 스캐너로 스캔한 뒤에, 내가 잘 다루는 캐드 툴로 수정할 수도 있고
사례4 : 무한상상을 통해 내가 원하는 모형을 3차원 디자인하여 출력합니다. 결과적으로 내 집이 공장이 되는 셈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운송 물류 시스템과 유통 서비스 시장도 확 바뀔 공산이 큽니다.
* 물론 잉크젯 프린터를 각 가정에 1대씩 갖고 있듯이 3D 프린터를 거의 모든 가정에 1대 보유하게 될 경우입니다. 현재 저렴한 FDM(열에 녹는 고체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를 실타래처럼 뽑아 이것을 조금씩 녹여가며 쌓는 방식) 방식의 3D프린터가 약 80~175만원 선인데, 앞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게 명약관화 하므로 아마도 1년 안에 약 50만대 이하의 경제적인 3차원 프린터 기종이 우리들 앞에 선을 보일 것입니다.
3D 출력 대행사가 시내 곳곳에 생길 것이므로, 대행사에서 고품질3D프린터로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SLA, DLP 방식의 고사양 프린터(고품질 고속)는 1대당 2억원이 되기도 합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3D프린팅 산업은 블루오션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하겠습니다.
3d캐드,3dcad,3d디자인,3d모델링,3d설계,3dprinting,3d프린팅,3d프린터,3d모델러,3dmodeler,3dprinter,3dscanner,3d스캐너,3ddesign
대만산은 50만원대로 판매한다는데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