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중요한 부분이라서 질문 두가지를 할까합니다. 부탁드립니다. 상세하게 알려주신다면 감사할따름입니다.
첫번째는요. 기존의 항측도면의 지형을가지고 절토를하건 성토를하건 측량을해서 물량을 산출하는데 간단하게 하는방법은 원지형과비교지형을 겹쳐서 물량을 산출하는방법이 있더라구요, 단간하게 숫자로만 절토.성토 얼마라고만 나오는데 시공사에서 많이 필요로하는건
종단과 제일중요한 횡단면도가 있어야 합니다. 그면적이 토적표에 들어갔을때 정확하게 물량이 산출이 되어야하는데 정확하게 종단과횡단을 간단한벙법으로 그려지게 할수있는방법이 있을듯한데 어찌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부분이 제일중요하고 필요로합니다.
두번째는요 위의내용과 중복되는부분일수도있습니다. 기존 항측도면에 산이있다고 가정할때 그 산중턱에 공장을 지으려고 합니다. 책을보니 폴리라인을 긋고 그 폴리라인에다가 높이 값을 주면 절.성토시 법면의 기울기 값만 정해주면 물량이 산출이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현장에서는 일정하게 흙을 절토하거나 성토를 하는게 아니라서 일정한 값을 주지 못합니다. 측량한 타점을 보면 뒤죽박죽 타점이 나와있는데 이를 위의 내용처럼 측량한파일을 계획이라고 보고 종.횡단을 그릴수 없는지 알고싶습니다. 위내용과 약간 중첩이 되는 부분이 있네여 이두가지가 제일 중용합니다. 꼭 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의 메일은 schnauzer_love@nate.com 입니다. 메일로 답변해주셔도 괘안 습니다. 수고하세여~~~~꼭 부탁드립니다.
공유
일단 현황 지표면과 계획 지표면이 다 완성되어져 있다면 종횡단 도면을 만드는 법만 알면 간단히 해결되겠네요~!
종단은 먼저 선형을 만들으셔야하구요~! 그다음 두개의 지표면으로 종단을 작성하시면됩니다.
횡단면도는 만들어진 선형에 횡단단면검토선을 작성하시고 그단면 검토선구릅에 따른 다중횡단뷰로 작성된 횡단면단면검토선마다의 횡단 면도가 작성됩니다.
그리고 각횡단면의 물량 산출은 횡단재료 계산에서 할수 있구요~! 예를 들어 현황이 지표면1 이고 계획이 지표면2라 할때 성토 지표면1위 지표면2 아래, 절토 지표면1아래 지표면2 위 이런식을 세팅을 하죠~! 그러면 횡단면도마다 각 절성토부분에 해치가 자동으로 들어가면서 물량계산이 됩니다.
토적표도 그 횡단 면에 따라 자동으로 작성되어 지구요~!
설명이 너무 부족할거 같네요~! 자세히 말씀드리기는 양이 너무 방대한지라(책한권은 나오겠네요~! ) 튜토리얼을 보세요~! 일단 종단선형 종단작성 횡단작성 횡단물량 산출 이렇게 보시면 될거 같네요~!
그런데 문제는 자동으로 생성된 종횡단 도면을 국내 스타일에 맞게 레이블 세팅을 해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종단면도 밑에 측점부터 지반고 계획고 절성고등을 표시하는 표를 세팅해야 하구요~!
횡단면도에 각각의 단면에 붙여지는 토공물량표도 세팅해야 하는데 이게 한번 해놓으면 편한데
그거 한번 세팅하기가 힘들어요~! 제대로된 튜토리얼도 없구요~! 저는 일일이 하나씩 해보면서 했는데 그 레이블세팅하는거 배우기가 힘들죠~! 이렇게 글로 표현하기도 분량이 너무 많구요~!
그리고 두번째 질문은 현장에 토공기성 작업을 하실때 사용할려는 듯한데요~!
그부분에 있어서는 정말 civil 3d가 탁월한 효과를 발휘 할듯 싶네요~! 최초 현황 지표면과 공사하면서 측량한 데이터로 따로 지표면을 만들기만 하면 되죠~! 토공물량을 위한 종횡단면이 세팅되어진 상태에서 시공상황에따라 측량한 데이만 업데이트해서 지표면을 업로드하면 그거에 맞추어 종횡단 토공량 다 자동으로 되죠~! 깎여나가는 지형의 형태로 측량만 하시면 나머지 야근하시던 일은 10분이면 끝나죠~!^^
그런데 이것도 측량데이터로 지표면을 만드는 기본 개념이 있어야 하구요~! TIN삼각망으로 3d지형이 만들어 지는 원리와 지표면제어방법 경계설정과 편집방법들을 공부하시면 될듯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네여 저도 빨리 civil 3d를 마스터 하고싶은데 책을봐도 잘안되는 부분이 많네여 그래서 이렇게 글을올렸는데 답벼 너무 고맙습니다. ~~~~~앞으로 종종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시고
새해복많이 받으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