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
cmdecho의 활용에 대해선데요.
리습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그 쓰임에 대해서 잘 모르겠슴다.
자세히 알고 싶구요…
에~~~또..
라지님이 보신다면 리습 잘 받았는데요 첨 캐드실행시
toolbars_objects properties있죠.저기 화면 맨위에 레이어랑 칼라,라인타입
있는부분요…
다른 컴에서 캐드실행하면 바로 bylayer가 잡혀서 화면이 뜨는걸 봤는데
(칼라와 라인타입.)그건 어캐하는지요..
무쟈게 잠이 오는 오훔다.다덜 힘내이소…내두~~~꼬기여…
잠항….
cmdecho의 활용에 대해…
공유
잠수함님의 글
————————————
부상…
cmdecho의 활용에 대해선데요.
리습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그 쓰임에 대해서 잘 모르겠슴다.
자세히 알고 싶구요…
에~~~또..
라지님이 보신다면 리습 잘 받았는데요 첨 캐드실행시
toolbars_objects properties있죠.저기 화면 맨위에 레이어랑 칼라,라인타입
있는부분요…
다른 컴에서 캐드실행하면 바로 bylayer가 잡혀서 화면이 뜨는걸 봤는데
(칼라와 라인타입.)그건 어캐하는지요..
무쟈게 잠이 오는 오훔다.다덜 힘내이소…내두~~~꼬기여…
잠항….
————————————
안녕하십니까?
cmdecho는 autolisp의 시스템 함수로서 autolisp 명령을
화면에 표시할 것인가를 설정하는것을 말합니다.
(setvar “cmdecho” 1) <= 화면에 표시하는 거구요…
(setvar “cmdecho” 0) <= 화면에 표시가 안되는 겁니다.
그럼 수고하십시오.
cmdecho는 커멘더 에코 임다…
즉 (setvar “cmdecho” 1) 로 설정하면 lisp를 실행하면서 각 command명령을
나열하면서 실행합니다.
F2를 눌러 text를 보면 어떤 명령이 실행 됬는지 역사를 알수 있죠..
그러나 컴이 리스트를 생성해가며 실행 할려니 속도는 아무래도 떨어자죠..
그래서 리습을 짤때는 그 리스트를 보기위해 1로 설정하자만 정학하게 실행되면
0으로 합니다.
즉 (setvar “cmdecho” 0)으로 설정하면 command 리스트를 보여주지않고
혼자 실행하고 결과만 보여 줍니다. 당연히 1로 설정해서 리스트를 보여주는 것 보다는 속도가 빠르겠죠…
참고로 setvar함수는 내부함수 지정용 함수 입니다….
=== 따라지 ===
부상…
내용 없는디..^^
잠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