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간 여러 도움을 받았었는데 또 궁금한게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이해를 돕고자.. 내용이 길기도하지만 잘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도면]에 [B 도면]을 Insert로써 넣고 [A 도면]의 [dxf code]를 살펴보면
[Block Section]에 [B 도면]에 해당하는 Entities 관련 code가 생겨나고요
[Entities Section]에는 Insert라는 code가 생겨나요.
이 지식을 바탕으로 제가 알고 싶은건요.
[A 도면]의 [dxf code]에 [B 도면]에 해당하는 [dxf code]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위 내용을 보시면 insert했을때 자동으로 B 도면에 해당하는 code가 A 도면의 dxf code에 생깁니다)
[B 도면]의 파일 이름과 파일 경로를 [A 도면]의 [dxf code]에 입력해주면
[A 도면]에 [B 도면]에 해당하는 내용들이 생겨나는 겁니다.
정리를 해드리면요..
처음 말씀드린 것은 이렇습니다,
[A 도면]의 [dxf code]에서 [Block section]과 [Entities section]을 수정합니다.
어떻게 하냐면요, [B 도면]을 insert했을때 생기는 Code들을 각각의 section에 입력해주고
저장을하고, 그렇게해서 만들어진 도면을 열어보면
[A 도면]에 [B 도면]의 내용들이 삽입되어 [B 도면]의 객체들이 [A 도면]에서도 보이는 거에요
제가 원하는 내용은 이렇습니다.
[A 도면]의 [dxf code]에 [B 도면]의 파일 이름과 파일 경로를 입력하여 줍니다.
그러면 위의 방법처럼 일일이 각각의 section에 code를 입력하는게 아니라,
단순히 [B 도면]이 삽입되어지는 거에요.
위 두가지 방법이 비교가 되시나요?
보다 쉽게 [B 도면]을 [A 도면]에 삽입하는 방법을 궁금한건데요,
파일경로와 파일이름으로써 삽입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알고 계시는 지식이라도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