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와 CAD Q&A 에서 FATAL 에러에 대해서 찾아보았지만 저의다 프린터 에러로 FATAL 에러가 나는거 같습니다..
그런데 전 프린터 에러와는 다른 MOVE 에러인거 같은데요… 이런 에러는 왜 생기는걸까요? 아님 수정가능한지…
캐드 작업을 하다가 MOVE 작업을 하고 옮기려고 하는 이런에러가 나서 튕깁니다.. 다행인건 작업한걸 저장하고 나중에 복구가 가능하다지만 열심히 작업중에 이런에러가 나면 정말 작업을 하기가 싫어집니다…
이 에러는 왜 생기는 겁니까?
정말 프린터 에러나 메모리 에러면 고칠수가 있다지만 이건 도데체 어떤 에러인지 가르쳐 주세요… ^^
특정도면에서만 그러는것이 아니라 여러도면에서두 같은 증상이 납니다.
파란빗물Lv.0
FATAL ERROR : Unhandled Access Violation Exception at 6651f9h
공유
보다..보다…안타까워서 글을 올립니다…-_-
CAD 작업시 가끔 심각한 에러가 발생하면서 AutoCAD가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들 수 있습니다.
* 우선 AUDIT 명령으로 도면진단을 하세요!
1) 그래픽카드, 마더보드, 파워 등의 불량 및 드라이브 부적정으로 인해 AutoCAD가 다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특히 AuoCAD LT의 경우, 시스템 특성을 많이 탑니다…굳이 추천하자면 그래픽 카드는 Oxygen VX1, 인텔칩셑 마더보드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특히 플로팅 및 한글폴더와 관련해서는 해당 서비스팩 및 팻치를 하셔야 합니다.
==> AutoCAD 2000관련 팻치에는 아래와 같이 몇가지 있습니다.
필히 AutoCAD 2000 Plotting Update Patch(plotupdate.exe)를 하셔야 되구요!
autocad 2000 에서 2단계이상 한글폴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서 plot시 다운이 되거나 치명적 오류 메세지를 내보내는 에러는 AutoCAD 2000 한글 폴더 출력 문제 패치(adkplot.zip) 화일을 autocad/support/ 디렉토리에 겹쳐쓰기하셔야 합니다.
3) 도면의 좌표값이 극대하거나 극소하면 도면에 손상이 가거나 에러가 발생합니다.
==> ㅇ도면의 좌표값이 극대하거나 극소화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는 좌측하단의 좌표값이 (0, 0)이 되어야 합니다.
==> ㅇ대규모 MASTERPLAN과 같이 어쩔 수 없이 좌표값이 극대화되는 경우에는 도면의 중앙 좌표값이 (0, 0)이 되도록 합니다.
==> ㅇ쉬트도면인 경우는 반드시 좌측하단의 좌표값이 (0, 0)이 되어야 하며 시스템변수 INSBASE(삽입 기준점) 값도 (0,0)이어야 합니다.
4) CAD 작업을 하다보면 길이가 0 인 선분/폴리라인 및 폴리라인 세그먼트가 생성됩니다. 이러한 요소들 때문에 종종 도면에 에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 ㅇ특정 유틸을 이용하면 길이가 0 인 선분/폴리라인 및 폴리라인 세그먼트를 찾아내어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도면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시키는 원인의 대부분은 한글폰트 때문입니다.
==> ㅇ한글폰트의 호환을 위해 각종 잡다한 SHX 폰트를 모아 놓고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이런 경우 잘못된(완선형/조합형을 완벽히 지원하지 못하는) SHX 폰트 때문에 에러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특정 유틸을 이용하여 폰트를 대체하여야 합니다.
==> ㅇHY울릉도L 및 EXPO 어쩌구 저쩌구 하는 폰트는 MS Office등에서 별도로 추가되는 폰트입니다. 이러한 폰트를 사용한 도면을 같은 폰트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시스템에서 도면을 열어 작업할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유령(Ghost)과 같은 폰트객체가 생성되어 언젠가는 도면에 심각한 손상을 주어 도면데이타를 잃게 됩니다.
==> ㅇ문자유형창에서 폰트앞에 아이콘이 나타나지않는 폰트는 AutoCAD에서 지원되지않는 폰트이므로 폰트를 바꾸셔야 합니다.
ㅇ일반적인 AutoCAD 기능으로는 이러한 객체를 찾아내어 지울 수 없지만, 특정 유틸을 이용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유령(Ghost)과 같은 객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