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용 중인 리습 : 치수선택하여 합을 텍스트로 표시
(defun c:DD(/ ss en sum txs a1 a42 pt n)
(setq sum 0)
(setq txs(getvar ‘textsize))
(setq ss(ssget (list(cons 0 “DIMENSION”))) n 0)
(repeat (sslength ss)
(setq en(entget (ssname ss n)))
(setq a1(cdr(assoc 1 en)) a42(cdr(assoc 42 en)))
(if (eq a1 “”)(setq sum(+ a42 sum))(setq sum (+ (atof a1)sum)))
(setq n (1+ n))
)
(setq pt(getpoint “n문자를 표시할 위치:”))
(command “_text” pt txs “0” (strcat “합= ” (rtos sum 2 2)))
(princ)
)
2. 수정하고 싶은 내용 *.*
-. 상기 리습에
텍스트 표기 하기전에 값 – { (선택된 치수의 개수 -1(고정값)) * (값입력 or 값선택)}
될까요? ?
-. 사용용도
판금전개의 전장길이 확인용으로 사용…
그럼 활기찬 하루 하루 되세요.~~~
■. 결과
잘 모르니 이거 하나 바꾸는데도 오래 걸리네요
이글 저글 보고 여러번 바꿔보고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defun c:DD (/ ss en sum txs a1 a42 pt n)
(setq sum 0)
(setq txs (getvar ‘textsize))
(setq ss (ssget (list (cons 0 “DIMENSION”))) n 0)
(setq zzz (sslength ss))
(repeat (sslength ss)
(setq en (entget (ssname ss n)))
(setq a1 (cdr(assoc 1 en)) a42 (cdr (assoc 42 en)))
(if (eq a1 “”)(setq sum (+ a42 sum))(setq sum (+ (atof a1) sum)))
(setq n (1+ n))
)
(princ “선택 갯수 : “)(princ zzz) (princ “개 입니다.”)
(setq xx (getreal “n연신율 입력 :”))
(setq xxx (rtos xx 2 2))
(setq pt (getpoint “n문자를 표시할 위치 :”))
(setq bb (- zzz 1.0))
(setq go (* xx bb))
(setq sum1 (- sum go))
(command “_text” pt txs “0” (strcat “연신율 = “(rtos xx 2 2)))
(command “_text” “” (strcat “전장 = “(rtos sum1 2 2)))
(princ)
)
감사했습니다. 멜론님~
아.. 감사합니다. 멜론님 닉넴보니 이제 생각나네요..
치수 합 텍스트 표기하는것도 아마 멜론님이 어느분 요청에 해주신걸로 기억나요..
가물가물…
감사합니다.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겠습니다.~~~~
지금 보자마자 댓다느라 사용은 안해봣는데 ^^ 써보고 후기 남겨둘께요..
매우~ 아주~ 감사합니다.
정확히 해주셧네요~ 감사~!!!!
계산식 표시될 때 입력값이 반올림 되서 표기되어요.
사용값이 둘째자리까지 사용한다는 코멘트를 남겨두었어야 했네요 ^^ ;
이 건 제가 공부해서 바꿔볼께요~
감사합니다~~!!
행복한 나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