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 작업을 하다보면 a라는 회사에서 받은 도면과 b라는 회사에서 받은 도면을 따로따로 작업해야 할 때가 있는데
a라는 회사에서 받은 도면에서 hatch를 입력하고 ansi31 스케일을 100으로 놓고 제가 원하는 스케일로 잘 쓰다가 b라는 회사에서 받은 도면에 hatch를 복사해야 할 경우가 있어 ansi31을 복사해서 쓰면 복사할 당시에는 제가 원하는 스케일로 딱 나오는데 더블 클릭해서 스케일을 100으로 다시 지정해보면 빗금이 처음 복사되었을 때 그 스케일이 아닌 엄청 촘촘해지거나 듬성듬성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같은 경우 10이나 1000 등 스케일을 다르게 지정해야 a라는 회사에서 받은 도면의 스케일과 같은 정도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냥 복사해서 놔두면 그 스케일 그대로라 상관없는데 b라는 도면에서 hatch를 생성하고 보통 특성복사로 a라는 회사에서 따온 hatch를 원본으로 선택해서 새로운 hatch에 적용하는데 이 때 hatch 스케일이 눈에 보이는 것과 달리 프로그램에서 인식하는 스케일이 달라서 그런 거 같은데
hatch scale도 ltsacle 처럼 도면마다 따로 도면 전체에 대한 hatch 스케일을 정하는게 있나요? 가령 도면 전체에 대해 hatch scale이 a라는 도면에서는 1로 설정되어 있고, b라는 도면에서는 10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a라는 도면에서는 hatch 명령창 내에서 스케일 설정시 100으로 설정하면 제가 원하는 촘촘함의 빗금hatch를 얻을 수 있다면 b라는 도면에서는 기본 hatch scale이 10으로 되어 있으니 hatch 명령어 내에서의 스케일 설정은 10으로 하면 10×10 해서 a라는 도면에서 100이라는 스케일과 같은 스케일 값을 얻을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
위와 비슷한 질문인데 특성창에 보면 맨위 일반탭에 선종류 축척이라고 해서 보통 1로 설정되어 있잖아요.
이건 lts는 도면 전체에 대한 선 스케일을 의미하는 거라 보는데 특성 창에서 일반탭에 선종류 축척을 설정하는 명령어는 무언지 알 수 있을까요? lts를 건드리면 도면 내 모든 선에 적용되니 함부로 못 건드리고, 개별 선에 대해서 특성창에서 일반탭-선종류 축척에서 수치 수정해서 하고 있는데 따로 명령어 알면 작업하는데 수월할 듯 해서요.
——-
이렇게 2가지 질문 드립니다.
요약하면
1. hatch도 lts와 특성창-일반탭-선종류 축척처럼 도면 전체에 대한 scale이 따로 있어 a라는 도면에서 hatch창 내 scale 100 입력한 것이 b라는 도면에서는 같은 100이어도 촘촘한 것이 완전히 다르게 표현되는 것인지,
2. 특성창-일반탭-선종류 축척은 명령어가 따로 있는지
이렇게 입니다.
둘다 해결되었습니다.
2. 특성창-일반탭-선종류 축척은 명령어가 따로 있는지
팁 ltscale은 전체 선 축척이고,
개별적으로 할러면, change,chprop란 명령어가 호랭이 담배피던 시절부터 존재 해 왔습니다.
귀찬아서 ltscale을 안 쓰는 1인. 특성창도 귀찬음
chprop이 더 편한 1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