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t Building에서 모델링 된 모든 객체들은 서로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게 되며, 바로 매개변수(parameters)가 그런 관계들을 결정하게 됩니다. 창은 벽에, 난간은 벽 혹은 계단에, 계단은 층높이에 관계된 것처럼 말이죠. 만약 남측 외벽에 창 몇 개를 등간격으로 배치했다고 가정할 때, 벽의 길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그 간격을 유지하며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평면뷰 혹은 입면뷰 어느 한 곳에서 수정했을 때 그 변경사항이 그와 관계된 객체에 즉시 반영되어 원하는 뷰 어디서든 그 결과물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Revit에서의 건물 요소들은 그 외에도 각각 또 다른 매개변수들을 포함하는데요, 예를 들면 ‘문’의 경우 폭과 높이, sill높이, 심지어는 공급업체, 단가, 부속철물 등의 정보들을 이미 정의된 시스템 디폴트로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 데이터를 일람표, 내보내기 등의 기능을 이용 건물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건물정보모델링)의 기초개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parametric 이란 한쪽뷰에서 수정되면 연관된 다른 뷰가 같이 수정됩니다. 예를 들어 평면에서 문/창이 크기가 변경되면 입면/단면/3차원뷰에서 모두 변경된 내용이 반영됩니다. 단면에서 변경하면 다른뷰에서도 역시
변경된 내용이 반영됩니다. / ADT는 objectCAD입니다. 일반 AutoCAD에서는 문(door)객체가 없습니다. 각각 라인으로 그려주고,우리가 문이라고 인식하는것이지만, adt에는 문객체및 명령이 있습니다.
Revit Building에서 모델링 된 모든 객체들은 서로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게 되며, 바로 매개변수(parameters)가 그런 관계들을 결정하게 됩니다. 창은 벽에, 난간은 벽 혹은 계단에, 계단은 층높이에 관계된 것처럼 말이죠. 만약 남측 외벽에 창 몇 개를 등간격으로 배치했다고 가정할 때, 벽의 길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그 간격을 유지하며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평면뷰 혹은 입면뷰 어느 한 곳에서 수정했을 때 그 변경사항이 그와 관계된 객체에 즉시 반영되어 원하는 뷰 어디서든 그 결과물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Revit에서의 건물 요소들은 그 외에도 각각 또 다른 매개변수들을 포함하는데요, 예를 들면 ‘문’의 경우 폭과 높이, sill높이, 심지어는 공급업체, 단가, 부속철물 등의 정보들을 이미 정의된 시스템 디폴트로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 데이터를 일람표, 내보내기 등의 기능을 이용 건물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건물정보모델링)의 기초개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