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도면을 출력시 limits 와 윈도우를 사용하는데
일단 객체는 1:1로 그리고 출력할 용지크기(a3)를 그려scale 값을 주어서 도면에 맞추어서 윈도우로 용지 확대 값을 plot-scale 에 적용하여 출력을 합니다..저는
그런데 어느 회사를 보니 회사 양식을 불러와 용지를 1:1 크기로 하여 limits 역시 용지크기 일대일 크기로하고 작업한 도면을 줄인다는데 영 이해가 가지 않아서요 그럼 치수도 변경이 되어 수정을 해야 하고 불편한점이 많을 것인데….안그런가요?
그리고 실무에서는 보통 어떤 방법으로 출력을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limits 인지 아님 윈도우 로 출력을 하는지?
공유
질문내용대로 용지크기에 맞춰 도면을 줄이는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잘못된 방법이지만 치수를 깬다거나 dimlfac 변수를 조정해서 치수수치를 유지할 수 있긴하지만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보통 회사나 발주처에 따라 도각이 정해져 있구요, 이 도각을 도면의 스케일(도면 종류에 따라 미리 스케일이 정해짐)에 따라 정하지요. 다만 작업 내용의 치수는 항상 실제 치수로 작업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