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빗 맵을 배우고 싶습니다.
세미나도 없고 동강도 부족하고 정말 배우고 싶습니다
도움을 주실분 연락 좀 주십시요
01020012569
그리고 질문이 있습니다.
캐드에서 작업된 도면을 활용하여 쉽게 레빗에서 작업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건축도면 자체를 캐드에서 2d로 가져와서 3d로 쉽게 작업 하는 노하우 같은거요
그리고 또 궁금한게요 바닥 배관이나 천장 배관을 하면 그것들은 어떻게 표현을 하나요
트레이나 노출배관은 보이지만 천장이나 바닥은 그안에 있는거는 표현하기 힘들잖아요.
그래서 이러한 것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정말 궁금합니다.
저에게 정말 배움의 기회를 주십시요.
공유
레빗 맵이라면 MEP를 말씀하시는거죠? ^^
제가 알기로도 MEP 관련된 교육은 외부에서 별도로 진행하는 경우가 없는것 같구요…오토데스크 벤더회사인 EATC라는 곳에서 REVIT MEP 구입 대상자들에 한해 교육이 진행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료 신청이 가능한지는 알아보셔야 할것 같구요…MEP 교육 자체가 많이 이루어지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건축과 관련된 교육은 많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고 현재 많은 분들이 REVIT Architecture를 사용하고 계셔서 도움 받으시는데는 어려움이 없을것 같은데요….분야가 건축쪽은 아니신거 같고….MEP를 배우고자 하시면 MEP를 배우기에 앞서 REVIT Architecture쪽으로 먼저 접근해보심이 어떤지 모르겠네요.
공정상 건축이 우선되어진후 MEP 분야의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툴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Architecture쪽으로 먼저 배우신후….MEP로 접근하시는게 낳을거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그리고 위에서 질의하신 내용은 조금 이해가 가지 않는데요….
기계 위생배관이나 기타 배관들의 표현 방법을 말씀하시는건지???
바닥배관이나 실링 내부의 배관 표현은 어렵지 않은데요…..ㅠㅠ (제가 이해를 잘못 하고 있는건지..)
아니면 전선배관과 같이 스라브나 입상면에서의 벽체 매입 배관의 처리를 말씀하시는 건지……ㅠㅠ
암튼……기계관련 설비 배관의 처리는 어렵지 않구요.
전기배선의 처리또한 슬라브나 벽면의 배관 처리는 비활성화 되는 슬라브나 벽면에 배관을 현장 시공방법과 같이 동일하게 작업하면 문제없습니다….ㅠㅠ
제가 이해를 못하는 문제로 답변을 제대로 드렸는지 모르겠네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ATC라는 기관 홈페이지입니다.
강의일정, 비용등 확인해 보세요..^^
http://atck.co.kr/schedule/calendar.asp
만약 교육일정이 맞지 않는다면 위 헌터님의 말씀처럼 Revit Architecture를 먼저 공부해 보세요.
두 제품에 공통점이 굉장이 많습니다.
댓글을 다신 두분…좀짱인듯…^^
레빗에서 전기부분의 콘크리트 매입관은 별도의 패밀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위적으로 배관을 하는 것 뿐이죠
그래서 전기계통도에 관련된 패밀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ㅠㅠ
말씀하신 질의가 전기분야라하면…
Revit MEP에서 전기 패밀리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슬라브나 벽체 매입관의 경우 설비의 배관을 속성변경하여 전선관으로 사용할수 밖에 없습니다.
모델링 표현은 어렵지 않구요…….
이상하게도 MEP에서 전기의 비중이 상당히 약한거 같습니다. 외국의 설계방식과 국내설계방식에서의
차이일수도 있구요….
좀 복잡하네요…ㅋㅋㅋ ^^
Revit MEP를 배우고자 하시는 분들이 상당수 있는거 같은데……그에 비해 해당 교육은 많이 부족한점이 아쉽습니다. 열심히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