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동그라미 부분에서
스케치1과 스케치2 사이의 레일이 직선이 아니고 곡률이 들어가
있습니다. 따로 레일을 그리지 않고 자동으로 생성되게 했는데
자동생성 레일은 에디트를 할 수 없나요?
제가 원하는건 스케치1과 스케치2 사이는 직선이고 스케치2 위로는
접선으로 곡률을 갖고 스케치3으로 이어지고 싶은데 레일을
직접 그려넣지 않고 옵션에서 편집은 불가능한가요?
레일을 스케치로 그려 넣고 싶긴 한데 스케치1,2는 사각이고
스케치 3은 타원이라 레일의 적절한 위치를 찾기 어려워
그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스케치 1, 2, 3를 보고 싶습니다. IPT 파일을 첨부해 주세요. 사각이고 타원이라도 레일 그리는 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모델링 올립니다.
추가 질문입니다.
모델링 보시면 loft1과 loft3 이 있는데…
제가 원했던것은 loft1을 한 후 3t shell을 하려고 했었습니다만
에러가 뜨더군여. 그래서 고육지책으로 loft3을 적용하여
3t 두께를 만들었습니다.
shell이 적용이 안되는 이유가 제 생각엔 안쪽 필렛 부분의 R이 너무
작아져서 에러가 뜨는것 같긴 한데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비교가 될진 모르겠는데 같은 형상으로 카티아에서 모델링을
했을 때는 솔리드 모델링 후 쉘 파기도 되었고, 서피스 모델링 후
두께부여도 가능 했습니다.
아직 실력이 모자라 너무 질문만 하는거 같네요…
자동생성 레일을 편집하는 방법은 로프트 대화창의 세 번째 탭에서 체크 해제하면 되는데요…
ironmax님의 부품의 경우는 그렇게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네요.
그냥 레일을 그리는 수 밖에 없습니다.
파일을 첨부했으니 참고하세요. (인벤터 6 이상에서 열기 가능)
작업평면 12~15: 세 점을 지나는 평면
작업점 1~8: 타원과 작업평면의 교차점
스케치 16~23: 스케치점 2개와 작업점 1개 형상투영 > 선 그림 > 접하는 호 (tangent arc) 그림
작업점 9~20: [YZ 또는 XZ 평면] 과 [스케치 선 또는 타원]의 교차점
스케치 24~27: 작업점 3개를 형상투영 > 선 그리고 > 접하는 호 (tangent arc)를 그림.
위의 부품에 쉘 3 mm 는 인벤터 7, 8 에선 안 되고, 인벤터 9 부터는 됩니다.
===================================================================
— ironmax님의 글
사진의 동그라미 부분에서
스케치1과 스케치2 사이의 레일이 직선이 아니고 곡률이 들어가
있습니다. 따로 레일을 그리지 않고 자동으로 생성되게 했는데
자동생성 레일은 에디트를 할 수 없나요?
제가 원하는건 스케치1과 스케치2 사이는 직선이고 스케치2 위로는
접선으로 곡률을 갖고 스케치3으로 이어지고 싶은데 레일을
직접 그려넣지 않고 옵션에서 편집은 불가능한가요?
레일을 스케치로 그려 넣고 싶긴 한데 스케치1,2는 사각이고
스케치 3은 타원이라 레일의 적절한 위치를 찾기 어려워
그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벤터 7, 8 에선 쉘 3 mm 시도하면 에러 나오는데,
인벤터 9, 10 에선 쉘 3 mm 가능하네요.
=================================================================
— ironmax님의 글
모델링 올립니다.
추가 질문입니다.
모델링 보시면 loft1과 loft3 이 있는데…
제가 원했던것은 loft1을 한 후 3t shell을 하려고 했었습니다만
에러가 뜨더군여. 그래서 고육지책으로 loft3을 적용하여
3t 두께를 만들었습니다.
shell이 적용이 안되는 이유가 제 생각엔 안쪽 필렛 부분의 R이 너무
작아져서 에러가 뜨는것 같긴 한데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비교가 될진 모르겠는데 같은 형상으로 카티아에서 모델링을
했을 때는 솔리드 모델링 후 쉘 파기도 되었고, 서피스 모델링 후
두께부여도 가능 했습니다.
아직 실력이 모자라 너무 질문만 하는거 같네요…
쉘은 인벤터 9 부터 가능하네요. 바로 아래 답변글에 첨부이미지를 올렸습니다.
아래 답변글 제목 " [Re]로프트 레일 그려서 IPT 첨부합니다. " 를 보세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로프트에서 쉘은 저로썬 안되는군요… 그냥 트릭을 써야 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