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rt작성자를 보면 억제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기능을 사용해서 좀더 많은 부품을 커버할수 있는거 같은데
제가 몰 잘못사용했는지 잘 안되네여.
간단하게 예를 들어서 어떤 모서리에 한번은 필렛을 주고 한번은
챔퍼를 줘서.. 일단 챔퍼나 필렛을 억제 시킨상태에서 당연히 반대는
계산을 시켜주고 테이블을 한 두세개 짜보았는데.
변환이 안되네요.
일단 기능의 쓰임새는 이게 맞는거 같은데 꼭 ipart부분에서 thread 처리
할때 부적절한 스레드 뜨는것처럼
메시지를 보면
업데이트 할 때 오류가 발생함
모깎기: 이모깎기을(를) 구축할수 없음
모깎기 피쳐를 만드는 중에 모서리를 찾지 못함.
팩토리를 지정된 구성원으로 설정하는데 실패함.
이라고 나오네염 ㅜ.ㅜ
ipart작성자부분에서 억제부분에 대해서 아시는분 설명좀 부탁드려여
설명하기 귀찮으심 성공한 화일이라도…
간단하게 작성해서 보내주심 정말 감사. 할게요
internet에서 받은 화일 가지고 분석하고 있는중인데 그화일도 잘 안되네영.
손으로 억제 해제 시켜준다음에 테이블 사용한다면 굳이 한화일로 만들이유가
없을거 같거든요 걍 화일 두개 만들어 버리는게 낫져 쓰는 입장에서는…
하여간 고수님들 부탁드려요^^
문의 하신 방법으로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iparts에서 억제라 함은 많은 피쳐 중에 iparts생성시 배제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를 테면 사각박스에 한쪽은 필렛, 한쪽은 쳄퍼가 들어가 있는경우
어떤 부품은 쳄퍼부를 안나타 나게 하고, 어떤 부분은 필렛 부분을
안나타 나게 하는 경우죠…
문의 하신 내용으로는 한 엣지에 필렛과 쳄퍼를 동시에 주고
iparts에서 선택하여 나타 내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럴경우 모델링시 둘중 하나는 피쳐 억제를 시켜야하고
억제된 피쳐는 iparts생성시 제외가 됩니다.
억제를 안할경우에는 에러가 있는 부품을 iparts 를 만든경우니
당연히 iparts를 삽입할 경우 문의하신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
결론은 불가능하다 입니다…
위의 경우는 부품을 에러 있는 상태로 무조건 피쳐를 겹쳐서 만든후
한개의 피쳐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피쳐 억제를 하신후 저장을 하십쇼
그후 그 부품을 삽입후 필요한 피쳐를 억제 해제 하신후 나머지를 또 억
제로 잡아 놓습니다. 이런식으로 사용하시면 문의 하시는 부분이 해결이
될것 같은데…
——————— [원본 메세지] ———————
ipart작성자를 보면 억제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기능을 사용해서 좀더 많은 부품을 커버할수 있는거 같은데
제가 몰 잘못사용했는지 잘 안되네여.
간단하게 예를 들어서 어떤 모서리에 한번은 필렛을 주고 한번은
챔퍼를 줘서.. 일단 챔퍼나 필렛을 억제 시킨상태에서 당연히 반대는
계산을 시켜주고 테이블을 한 두세개 짜보았는데.
변환이 안되네요.
일단 기능의 쓰임새는 이게 맞는거 같은데 꼭 ipart부분에서 thread 처리
할때 부적절한 스레드 뜨는것처럼
메시지를 보면
업데이트 할 때 오류가 발생함
모깎기: 이모깎기을(를) 구축할수 없음
모깎기 피쳐를 만드는 중에 모서리를 찾지 못함.
팩토리를 지정된 구성원으로 설정하는데 실패함.
이라고 나오네염 ㅜ.ㅜ
ipart작성자부분에서 억제부분에 대해서 아시는분 설명좀 부탁드려여
설명하기 귀찮으심 성공한 화일이라도…
간단하게 작성해서 보내주심 정말 감사. 할게요
internet에서 받은 화일 가지고 분석하고 있는중인데 그화일도 잘 안되네영.
손으로 억제 해제 시켜준다음에 테이블 사용한다면 굳이 한화일로 만들이유가
없을거 같거든요 걍 화일 두개 만들어 버리는게 낫져 쓰는 입장에서는…
하여간 고수님들 부탁드려요^^
에거겅… 화일 두개 만들면 간단한건데…. 구래도… 인터넷에서 받은 ipart중에 실제로 이렇게 된 파일이 있어서 질문을 드렸거든요.
분명히.. 구성요소 변경을 하면 에러가 뜨는데…. 굳이 밑에서 설명드렸던 대로 억제 해제 해가지고 두가지로 테이블을 짜 놓았길래…..
질문을 드려보았습니다… (어떤 이유가 있을듯 해서)자료실에 올릴수 있씀 함 올려볼게요.
——————— [원본 메세지] ———————
문의 하신 방법으로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iparts에서 억제라 함은 많은 피쳐 중에 iparts생성시 배제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를 테면 사각박스에 한쪽은 필렛, 한쪽은 쳄퍼가 들어가 있는경우
어떤 부품은 쳄퍼부를 안나타 나게 하고, 어떤 부분은 필렛 부분을
안나타 나게 하는 경우죠…
문의 하신 내용으로는 한 엣지에 필렛과 쳄퍼를 동시에 주고
iparts에서 선택하여 나타 내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럴경우 모델링시 둘중 하나는 피쳐 억제를 시켜야하고
억제된 피쳐는 iparts생성시 제외가 됩니다.
억제를 안할경우에는 에러가 있는 부품을 iparts 를 만든경우니
당연히 iparts를 삽입할 경우 문의하신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
결론은 불가능하다 입니다…
위의 경우는 부품을 에러 있는 상태로 무조건 피쳐를 겹쳐서 만든후
한개의 피쳐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피쳐 억제를 하신후 저장을 하십쇼
그후 그 부품을 삽입후 필요한 피쳐를 억제 해제 하신후 나머지를 또 억
제로 잡아 놓습니다. 이런식으로 사용하시면 문의 하시는 부분이 해결이
될것 같은데…
——————— [원본 메세지] ———————
ipart작성자를 보면 억제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기능을 사용해서 좀더 많은 부품을 커버할수 있는거 같은데
제가 몰 잘못사용했는지 잘 안되네여.
간단하게 예를 들어서 어떤 모서리에 한번은 필렛을 주고 한번은
챔퍼를 줘서.. 일단 챔퍼나 필렛을 억제 시킨상태에서 당연히 반대는
계산을 시켜주고 테이블을 한 두세개 짜보았는데.
변환이 안되네요.
일단 기능의 쓰임새는 이게 맞는거 같은데 꼭 ipart부분에서 thread 처리
할때 부적절한 스레드 뜨는것처럼
메시지를 보면
업데이트 할 때 오류가 발생함
모깎기: 이모깎기을(를) 구축할수 없음
모깎기 피쳐를 만드는 중에 모서리를 찾지 못함.
팩토리를 지정된 구성원으로 설정하는데 실패함.
이라고 나오네염 ㅜ.ㅜ
ipart작성자부분에서 억제부분에 대해서 아시는분 설명좀 부탁드려여
설명하기 귀찮으심 성공한 화일이라도…
간단하게 작성해서 보내주심 정말 감사. 할게요
internet에서 받은 화일 가지고 분석하고 있는중인데 그화일도 잘 안되네영.
손으로 억제 해제 시켜준다음에 테이블 사용한다면 굳이 한화일로 만들이유가
없을거 같거든요 걍 화일 두개 만들어 버리는게 낫져 쓰는 입장에서는…
하여간 고수님들 부탁드려요^^
자료실에 올리신 베어링을 보았습니다.
테이블을 그렇게 만든 이유는 한 파일에 개방형과 실드형을
같이 만들고자 한 이유 외에는 없습니다.
따로 파일을 두개 만든거나 마찬가지 겠죠
추정하신 이유가 맞습니다.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먼제 문의 하신 한 부품에 한번은 필렛, 한번은 챔퍼 같은 경우와는
완전히 다른 얘기가 되겠네요.
위의 경우는 한 엣지을 모체로 쓰기 때문에 모델링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베어링의 경우는 당연히 같이 구현이 되죠.
피쳐를 나타나게 할 것이냐 아니냐 하는 문제니까요.
너무 어렵게 생각 하시는거 같습니다.^^
——————— [원본 메세지] ———————
에거겅… 화일 두개 만들면 간단한건데…. 구래도… 인터넷에서 받은 ipart중에 실제로 이렇게 된 파일이 있어서 질문을 드렸거든요.
분명히.. 구성요소 변경을 하면 에러가 뜨는데…. 굳이 밑에서 설명드렸던 대로 억제 해제 해가지고 두가지로 테이블을 짜 놓았길래…..
질문을 드려보았습니다… (어떤 이유가 있을듯 해서)자료실에 올릴수 있씀 함 올려볼게요.
——————— [원본 메세지] ———————
문의 하신 방법으로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iparts에서 억제라 함은 많은 피쳐 중에 iparts생성시 배제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를 테면 사각박스에 한쪽은 필렛, 한쪽은 쳄퍼가 들어가 있는경우
어떤 부품은 쳄퍼부를 안나타 나게 하고, 어떤 부분은 필렛 부분을
안나타 나게 하는 경우죠…
문의 하신 내용으로는 한 엣지에 필렛과 쳄퍼를 동시에 주고
iparts에서 선택하여 나타 내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럴경우 모델링시 둘중 하나는 피쳐 억제를 시켜야하고
억제된 피쳐는 iparts생성시 제외가 됩니다.
억제를 안할경우에는 에러가 있는 부품을 iparts 를 만든경우니
당연히 iparts를 삽입할 경우 문의하신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
결론은 불가능하다 입니다…
위의 경우는 부품을 에러 있는 상태로 무조건 피쳐를 겹쳐서 만든후
한개의 피쳐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피쳐 억제를 하신후 저장을 하십쇼
그후 그 부품을 삽입후 필요한 피쳐를 억제 해제 하신후 나머지를 또 억
제로 잡아 놓습니다. 이런식으로 사용하시면 문의 하시는 부분이 해결이
될것 같은데…
——————— [원본 메세지] ———————
ipart작성자를 보면 억제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기능을 사용해서 좀더 많은 부품을 커버할수 있는거 같은데
제가 몰 잘못사용했는지 잘 안되네여.
간단하게 예를 들어서 어떤 모서리에 한번은 필렛을 주고 한번은
챔퍼를 줘서.. 일단 챔퍼나 필렛을 억제 시킨상태에서 당연히 반대는
계산을 시켜주고 테이블을 한 두세개 짜보았는데.
변환이 안되네요.
일단 기능의 쓰임새는 이게 맞는거 같은데 꼭 ipart부분에서 thread 처리
할때 부적절한 스레드 뜨는것처럼
메시지를 보면
업데이트 할 때 오류가 발생함
모깎기: 이모깎기을(를) 구축할수 없음
모깎기 피쳐를 만드는 중에 모서리를 찾지 못함.
팩토리를 지정된 구성원으로 설정하는데 실패함.
이라고 나오네염 ㅜ.ㅜ
ipart작성자부분에서 억제부분에 대해서 아시는분 설명좀 부탁드려여
설명하기 귀찮으심 성공한 화일이라도…
간단하게 작성해서 보내주심 정말 감사. 할게요
internet에서 받은 화일 가지고 분석하고 있는중인데 그화일도 잘 안되네영.
손으로 억제 해제 시켜준다음에 테이블 사용한다면 굳이 한화일로 만들이유가
없을거 같거든요 걍 화일 두개 만들어 버리는게 낫져 쓰는 입장에서는…
하여간 고수님들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