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을 잘못 이해했었네요..ㅎ;; 결국은 스케일(SC)의 문제네요. 두개의 도면을 크기를 맞추는 제일 쉬운 방법은 1. 우선 도면을 서로 한쪽면을 붙여서 놓는다. 2. “SCALE” 누른다. 3. 변경하고자 하는 도면틀을 “객체선택” 한다. 4. 기준점을 정한다.(두 도면이 공통적으로 일치하는 모서리점을 선택) 5. “R”(참조) 명령어를 입력한다. 6. 처음 찍었던 기준점을 찍고 변경하고자 하는 도면틀의 끝점을 선택한다. 7. 기준이 되는 도면틀의 끝점을 선택한다.
님 완전감사…ㅜㅜ
일단 노가다라도해야죠.
질문을 잘못 이해했었네요..ㅎ;;
결국은 스케일(SC)의 문제네요.
두개의 도면을 크기를 맞추는 제일 쉬운 방법은
1. 우선 도면을 서로 한쪽면을 붙여서 놓는다.
2. “SCALE” 누른다.
3. 변경하고자 하는 도면틀을 “객체선택” 한다.
4. 기준점을 정한다.(두 도면이 공통적으로 일치하는 모서리점을 선택)
5. “R”(참조) 명령어를 입력한다.
6. 처음 찍었던 기준점을 찍고 변경하고자 하는 도면틀의 끝점을 선택한다.
7. 기준이 되는 도면틀의 끝점을 선택한다.
한 두번 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꺼라 믿습니다. ^ㅡ^;
위에 것이 참조형식인디요. 별로 안어러운댑숑
sc 명령어 치고 기준점 잡은다음에
도곽을 기준으로 하는게 제일 나은데요
노가다로 하시려면
도곽 가로나 세로를 두개를 측정합니다.
a도면이 세로가 420이고 b 도면이 200이라고 치면
a를 b에 맞출때는 200/420을 하면 0.4762가 나오죠??
그럼 sc치고 a도면 전체 객체로 선택하고 기준점 잡고 크기에 0.4762 입력하면
a랑 b가 같아지게 되요
반대로 a에 맞추려면 420/200 하면 2.1이 나오는데
같은 방법으로 스케일 명령어 치고 객체잡고 기준점 잡고 2.1 넣으면 a랑 b랑 같아집니다.
sc 치고 객체 잡고 기준점 잡고 r눌러서 참조 형식으로 한느것도 있는데 이건 말로 설명이
어려워서 패스…
명령: sc SCALE
객체 선택: 반대 구석 지정: 1개를 찾음
객체 선택:
기준점 지정:
축척 비율 지정 또는 [복사(C)/참조(R)] <1.0000>: r
참조 길이 지정 <1.0000>: 두 번째 점을 지정:
새 길이 지정 또는 [점(P)] <1.0000>:
명령:
– 캡쳐 5번 했다고 컴이 다운되다니.
에이 고물 컴퓨터
에잉
스케일을 줄이고 치수는 그대로 표시되게 하려면, 치수 스케일도 같이 조정해 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실제 스케일을 1이라고 봤을때 도면을 0.5배로 축소할 경우 치수는 당연히 2배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치수 선택한 뒤 “CTRL+1” 누르시면 특성창이 뜹니다. 이 때 특성창 스크롤을
내리시다보면 1차 단위라는 항목이 보일겁니다. 그 중 선형치수축척을 “1”에서 “0.5”로 바꿔주시면
도면상에 실제길이가 1000mm 라면, 표시는 2000mm로 해주게 됩니다. 이렇게 특성을 바꾼 치수의
특성을 복사해서 나머지 치수에도 적용해주셔도 되구요.
스케일로 줄일 도면은 치수스타일을 다르게 설정하신 후 “DIMSTYLE”에서 해당 치수스타일을 “수정”
누르시고 “1차 단위”라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신후, “측정축척”항목의 측정비율을 “0.5”로 바꾸시면 해당
치수스타일을 사용하는 치수는 일괄적으로 다 바뀌게 됩니다.
스케일 다른 도면을 똑같이 맞출러면. 실치수가 틀려지는데.
우짤라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