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할때 구속조건을 막 주잖아요~ 메이트, 플러쉬, 각도 등등~
그런데 인벤터를 1년여 정도 하다보니까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구속조건 하나하나 걸때마다 그게 아무래도 메모리를 차지하니까 차라리
구속조건을 줘서 조립을 완료한 다음에 구속조건은 지워버리고 기준(G)을
걸어버리는게 낫지 않을까요? 연동구동할때 빼고는 조립품이 변동사항이
없다면 대형 조립품에선 이 방법이 오히려 메모리를 덜 차지하지 않을까요?
여러 고수님들 생각은 어떠하신지요? 아니면 다들 벌써 그렇게 하고 계신가요? ㅋ_ㅋ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미 확정되어진.. 다시는 수정이 없는 부품이라면 구속을 그리 주셔도 상관 없지만.. 수정이 될지 모르는 부품들의 구속을 고정으로 하게 되면 뒷감당이 어려울듯 합니다..
회사 실정상 요즘같이 설계 변경이 빈번할것을 예상 했더라면.. 구속 조건 하나 하나에 이름 지어줄껄 하는 생각도 하네요
이거예전에 튜토리얼 만들때 연습해봣는데 일반적인 구속은 기준을 잡아도 구속이에러 안나죠 하지만 변이나 접선으로 이뤄진 구속은 조금다릅니다.그구속을 전부 억제해버리고 모든부품기준잡아버리면 나중에 변이나 접선구속 억제해
하면 구속 다오류납니다..더군다나 수정자체는 불가능합니다..그리고 하위조립품까지 모두 그러기에는 힘들듯싶습니다..그리고 그구속 찿기 대형조립품에서 그많은 부품에서 그거 찿기 쉽지않습니다 모든구속이야 모델링뷰에서 구속
조건보면 다나오니 그걸 억제하니 상관없지만 하위조립품등 여러개로 이뤄진조립품은 그렇게해도 힘들듯하네요..그리고 정말 많은부품들은 어디가 어딘지 알수가없어요정말..정말궁금하시면 공개자료실 구속으로만든체인 있습니다..
그걸로 기준잡아주시고 해제하시고 구속억제해보세요 구속이미 다에러나있는상태입니다..스튜디오에서 만약구동을사용한다면 구성요소애니메이트일때는 쓸만하겟죠….차라리 구속이필요없으면 마스터스케치 INSERT AND FIX
이용해서 구속없이 고정해버리는게 좋지않을까요 그리고 스튜디오만 구동한다면 기준잡혀잇는상태에서도 구동가능합니다..하지만 마스터스케치가 치수가 모두존재해야겟죠 ….음이게맞나모르겟네요 튜토리얼할때는그래서요..^^
체인을 변이구속으로연습했을시 너무많이들어가서 님말씀하신것처럼 구속억제해주고 다조립햇죠 하지만 실수하면 끝장입니다..변이나 접선 구속이많을시요..다시만드는게빠르죠 .결론은요..뒷감당이 무지힘들어요 튜토리얼도감당이안되는
데 실제 대형조립품에서 그게 감당이될가모르겟네요…^^그리고 구속찿기가 정말힘들어요..다른구속은오류안나지만 접선이나 변이는기준잡을대 오류나느경우많습니다.기준억제하고해제할때보면…^^
작품전시실에 올려진 작품중 3축로보트 그거 구속구동아닙니다..마스터스케치구동입니다 모든부품 기준잡혀있는구동이라생각하시면됩니다.구속구동으로는 케이블베어는 불가능하거든요..^구속구동으로가능은해도 스튜디오에선거의불가능
좀난감하네요 구속조건에러안나네요 예전에는 매일에러났는데..정말입니다.참고로전 님말씀대로 거의그렇게사용합니다.튜토리얼을만들떄는요…튜토리얼만 그방법사용해요..
그리고 인벤터는 파라메터 방식이라고하죠 이게맞나 구속준게없으면 수정한것도 같이따라움직여야되면 구속은 당연히존재해야되지않나요.. .구속은존재해야됩니다.ㅋ수정때문예요….즐벤하세요..
그렇군요…마스터 스케치라…아직 시뮬레이션 분야까지는 전문적으로 접해보지 않아서 그런지 잘 모르는 이야기들만 있네요^^
다음에 시뮬레이션 부분 들어가서 궁금한거 있으면 좀더 물어볼게요, 좋은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말씀드린건 그냥모션입니다..구속구동이지 …인벤터10까지는 구속구동밖에 안되죠.. 11부터 시뮬레이션 기능이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