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 인벤터 솔리드에서 출력 렌더링 한후 생성된 AVI파일이 플레이가 않되요 ㅠ..ㅠ
렌더링 중간에 끊으면 끊긴 구간 까지는 보이는데
끝까지 렌더링 시킨 후 나온 것을 플레이하면 처음 화면만 나오고 그화면 그대로 플레이가 않되네요
질문2 – 다른 분들은 3Ds max나 Revit를 활용해서 렌더링을 하시던데 그렇게 하면 어떤점이 좋나요??
질문3 – 렌더링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질문4 – 인벤터 렌더링 관련 자료(싸이트, 책, 플로그, 카페 등등) 추천 부탁^^(너무하나?? 염치없어서 지송)
공유
눈꽃마을님, 나있무님 답변 감사 드립니다. 많이 도움이 되네요
하하 그리고 질문 1번문제는 제가 잘모르고 질문들 드린 것 같군요 지송 지송
질문 올리고 계속해보다 않되서 문제를 계속 찾는 중에 렌더링 중 우측 하단에 메모리 용량이 붉은색
으로 나오더군요 그러다가 중간에 끊기더라구요.헐 지송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하고 뒤져보니 3쥐 스위치라는 녀석이 또 있더군요 그게 off 되 메모리가 딸렸던 모양입니다.
3쥐 스위치에 대해서 또 질문 올려야 겠네요 ㅋㅋ
질문3- 에서 빼먹은 내용이 있네요 ^^
동영상 프로그램 중에 버추얼 덥을 추천한 이유는 우선 프로그램이 ‘무료’이고
무료 프로그램이지만 영상관련 전문 업체에서도 사용할 만큼 완성도 높은 프로그램 입니다.
버추얼 덥 이외에도 각종 유사 프리웨어 및 상용 프로그램도 많이 있으니
알아보고 님에게 맞는 프로그램 사용하시면 되요 ^^
상용프로그램 중에는 일반적으로 어도비 프리미어 ,소니 베가스 정도가 보편화 되어있어 관련
서적및 강의자료 구하기가 쉬울꺼에요
질문 4- 아직 기본적인 아이콘 설명및 간단한 예제만 나와있는 책만 출판되는것 같던데…
이질문의 답은 다른분이 ^^;;
용량이 무지막지하게 많습니다 (프레임 수에 따라 수분 짜리 영상이 수GB 넘어요 ^^:;)
이 파일을 그냥 사용하는게 아니라 인터넷 검색해 보면 ‘버추얼 덥”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 사용하시면 GB 넘는 동영상 파일을 MB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요즘 인터넷에 검색하면 많이 나와있습니다 ^^
여기서도 코덱에따라 화질및 용량이 결정되는데
상용 코덱을 사용하지 않으면 원하는 화질및 용량을 얻기가 힘듭니다 ..
참고로 저는 상용 인코딩 코덱은 DVIX 코덱 사용하고 있어요
질문3- 렌더링 시간은 크게 2부분으로 되어있는데. 하나는 모델링 데이타를 설정한 조명과 카메라 등..
렌더링 요소를 모델링 데이타에 적용하여 각 프레임의 그림을 생성하는 시간이고
나머지 하나는 생성된 프레임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압축하는 과정입니다.
대부분 1번과정에서 시간을 소비 하지만 일부 코덱의 경우 2번 과정에서도 일정 시간을 사용하게
됩니다 .. 렌더링 출력 설정시에 코덱 설정 항목에서 전체프레임(압축안함)을 설정하면 2번 과정을
생략하게 되어 시간을 일부분 절약 가능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결과물은 압축한 동영상 파일에 비해
질문 2 – CG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실사와 같은 사진을 얻기 쉽습니다 ,
물론 해당 프로그램의 이해가 끝난 경우에 말이죠 ㅎㅎ
일반 GC 프로그램들은 조명, 제질, 카메라 등 렌더링에 필요한 요소를 상세하게 설정가능하지만
인벤터및 일반 cad 프로그램은 CG 프로그램들에 비해 설정이 빈약합니다.
인벤터는 그나마 3dmax가 같은 회사 제품이다 보니 3dmax와 호환성도 100%이고
3dmax 기능과 유사한 기능이 포함되어있어 (인벤터 스트디오)
설정만 잘하시면 3dmax와 유사한 품질의 영상도 얻을수있습니다.
질문1- 렌더링 출력 시 압축 코덱을 어떤걸로 설정하셨나요 ?? 일반 상용 압축 코덱을 pc에
설치 하지 않으셨다면, 윈도우 기본 코덱인 cinepek 코덱이 그나마 쓸만합니다 ^^
용량대 화질이 높은 영상을 원하시면 상용 코덱을 구입 후 설치하셔야됩니다.
(어둠의 경로에서 구해도 되요 ㅎㅎ)
서점에 가면 서적있는데요 ^^* 답변이 너무햇나요? ㅜㅜ 그래도 돈을 투자하심 더 좋은 정보 습득 할듯 싶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