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습 파일내용은 이런데요 맨 끝에 오는 “1”이 무슨 역할을 하나요?
그리고 이것 때문에 두번째 그림처럼 길이의 합계의 끝에 항상 “1”이 붙어있게 되는 건가요?
위에서 처럼 항상 숫자의 합계 끝에 1이 붙습니다.. 이거 제거할 방법 없을까요?
공유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헤 헤 말씀 고맙습니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네요.. 감사요
(setvar “cmdecho” 1) <= 이게 꼭 필요한 내용은 아닙니다만… 앞에서 cmdecho 값을 0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끝낼때 다시 1로 설정해 주는 것이 좋긴 합니다. (정확히는 0으로 설정하기 이전 값으로 복원하는 것이 정석)
그래서, 기존 코드를 그냥 두고 아래와 같이 수정하시라는 뜻이었습니다.
…
(prompt (strcat “n***** 선택 객체수 = “(rtos n)” 길이합계 = ” (rtos dis)))(princ)
(setvar “cmdecho” 1)
(princ)
)
LISP의 모든 함수는 실행에 따른 결과값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그게 꼭 함수의 성공 OR 실패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 설명 보다는 LISP 도움말을 참고하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princ) 뒤에 오는 (setvar “cmdecho” 1) 를 지우고 LLE치니 끝에 따라붙던 “1”이 사라졌네요..
신기신기 ^^ 결과를 리턴한다는 말은 수식이 성공 OR 실패를 뜻하는건가요?
리습 함수는 항상 마지막 식을 계산한 결과를 리턴합니다.
그 1은 마지막 처리한 setvar 함수의 결과값입니다.
그냥 그 밑 함수 마지막 줄에 (princ)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