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LISP이란? 1960년경에 프로그래밍 언어는 보통 작성후 컴파일을 거쳐야 결과를 볼 수 있는 구조이지만 AutoLISP는 메모장 |
|
리습 작성 순서 |
|
1. Text Editor로 내용을 작성합니다. | |
예를 들어 layer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리습을 메모장에서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defun c:lm() –> 임의로 정의한 실행명 |
|
2. 작성한 내용은 *.lsp 로 저장합니다. | |
makelayer.lsp라고 저장하였다. 리습 파일은 AutoCAD support 폴더에 복사 하거나 다른 외부 폴더에 있어도 무방합니다. |
|
3. AutoCAD 실행 후 리습을 load 합니다. | |
command : appload –> 올릴 리습 선택 하고 올리기 | |
4. LISP 명령을 실행합니다. | |
command : lm –>리습에 정의 임의의 실행명 | |
(defun 내용) 하나의 실행문이죠… 즉, lm 이란 명령을 입력하면 (setvar)~(pric) 까지가 자동으로 실행이 됩니다. (command) 문은 AutoCAD 명령 라인이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이죠.. " 리습문 : (command "layer" AutoCAD 실행문 : 맨마지막의 빈 따옴표는 공백이기 때문에 Enter의 의미가 됩니다. |
|
위와 같은 리습을 만들어 놓았다면, 새도면 작성때 마다 같은 레이어를 만든다고 했을때 매번 해야 하는 작업을 lm 이란 명령만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죠….. |
리습이란? 리습작성법?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