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지금 Inventor10 시작에서 마무리까지-
를 따라하고 있는데요~ (참고로 103page입니다.)
면 이동(Move Face)에서 이동된 면은 원래 스케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네요? (모따기도 역시 그렇군요-.-;;)
그렇다면,,, 나중에 도면화 시킬땐 이 부분을 도면상에서
다시 수정해 주어야 하나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 미^^소님의 글
-제가 지금 Inventor10 시작에서 마무리까지-
를 따라하고 있는데요~ (참고로 103page입니다.)
면 이동(Move Face)에서 이동된 면은 원래 스케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네요? (모따기도 역시 그렇군요-.-;;)
그렇다면,,, 나중에 도면화 시킬땐 이 부분을 도면상에서
다시 수정해 주어야 하나요?
============================================================
답변입니다.
인벤터는 히스토리가 있는 파라메트릭 모델러입니다.
나중에 생성된 피처는 예전에 생성된 스케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박스 하나를 생성하고,
윗면 위에 동그라미 스케치를 그리고,
윗면을 면 이동 (Move Face) 했다고 가정합시다.
검색기는 다음과 같은 히스토리를 보여줍니다.
– 돌출1
– 스케치2 (동그라미)
– 면 이동1
– 부품의 끝 (End of Part)
근데, 동그라미 스케치는 원래 위치에서 꿈적도 안 합니다.
그 이유는 스케치는 과거에 만들어진 박스만 보기 때문입니다.
그 스케치는 미래에 생성된 면 이동1 에 대해 전혀 모릅니다.
부품의 끝을 과거로 갈 수 있는 타임머쉰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부품의 끝을 면 이동1의 바로 위로
끌어 올려 보세요. 옛날 박스(돌출1)가 나오면서
그 당시 윗면에 동그라미가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걸
파라메트릭 모델링의 전문용어로 roll back 이라고 합니다.
미^^소님께서 “모따기도 역시 그렇군요” 하셨는데
모따기의 경우는 스케치와 많이 다릅니다.
모따기는 바디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면 이동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
모따기가 연장될 수도 있고, 넓어질 수도 있고,
일부가 잘릴 수도 있고, 라운드가 필렛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경우에서 모따기의 기본 위치는 변함이 없습니다.
면 이동의 거리가 모따기 R값보다 커서
모따기가 없어지게 되는 경우,
면 이동 계산시 오류가 나오게 됩니다.
혹시 제가 미^^소님의 질문을 잘못 이해했다면
이미지(jpg)나 부품 파일(ipt)을 첨부해 주세요.
즐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