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리닝이라는 것이 제가알기로는 색의 명암을 조정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같은색일지라도 스크리닝값을 조정해 명암을 조정하는거라구요…
그런데 제가 궁금한점은..
이미작업해놓은 도면을 스크리닝으로 바꿔주면 도면에 나와있는 색과 출력시 색이 다르게나타날텐데 궂이 스크리닝을 쓸필요가 있는가하는것입니다.
그냥 도면자체의 색을 바꿔주면 되는것아닌가요 …
제가 뭔가 큰 착각을 하고있는점이 있다면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정연Lv.0
스크리닝의 개념…
공유
플롯유형테이블의 스크리닝이라면 스크리닝 100 은 잉크농도 100으로 가장 진하게 출력하란 의미입니다. 시험출력시 잉크를 아끼기위해서 낮게 주는식으로 활용할수 있을것입니다.
1000장의 도면을 일일히 색을 수정하면서 출력하면 힘들테니 플롯유형에 스크리닝 설정한번으로 출력만하면 될듯..
1000장의 도면….ㅋㅋ 아주 팍팍 와닿는 비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