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 20H7 – 리머,표면거칠기 기호 위에 y
20파이짜리 7등급 구멍 치수공차 짜리 8개를
리머로 y 등급 표면거칠기 만큼 하란말인가요 무슨말인가요.. ㅠㅠ
초보라서 이해가 안됩니다 ㅠㅠ
해석좀 부탁드릴께요….
공유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설계를 할 때 보는 공차는 <상용하는 끼워맞춤 구멍치수 허용차> 와 <상용하는 끼워맞춤 축 치수허용차>
라고 된 표를 봅니다.
이 표에는 가로로는 B10, C9,C10…..등의 허용차 등급 이고, 표의 세로로는 치수 범위인 0~3,3~6, 6~10…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B10….C9,C10…H7…H8 등에서 알파벳은 공차등급이고 숫자는 공차 범위입니다.
공차등급이란, 기준 공차를 어디다 두느냐..하는 것이고 공차 범위는 위쪽 공차와 아래쪽 공차의
범위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구멍 직경 20일때, G7은 +0.028~+0.007, H7은 +0.021~0 입니다.
같은 7급이기 때문에 공차범위는 0.021로 같습니다. 하지만 등급에 따라 G는 0.007이
기본공차이고, H는 0이 기초 공차입니다.
같은 7급이기때문에 공차 범위는 같지만 등급이 달라서 기본이 된 공차가 다릅니다.
IT기초 공차는 치수별 공차 범위를 정해둔것입니다. 숫자가 작을수록 공차 범위는 좁아
집니다. 직경 30일 경우 6급은 0.013이고 7급은 0.021 입니다.
알파벳 B,C,F…..H…는 공차등급인데, 각 치수별로 기초 공차가 얼마다라고 정해져 있습니다.
<구멍의 기초가 되는 치수허용차 수치>와 <축의 기초가 되는 치수허용차 수치>입니다.
이제…
설계할 때, 축의 경이 20이다..라고 했을 때,축과 구멍의 끼워맞춤 방식을 설계자가 먼저 선정합니다.
이 축과 구멍은 헐거움, 중간, 억지…이 3가지 중에서 선정을 합니다. 이건 누가 가르쳐 주는게 아니고
설계자가 판단합니다.
억지 끼워맞춤을 해야겠다고 판단이 서면 공차를 주어야 하는데요. 이때 구멍 기준이냐, 축 기준이냐를
결정합니다. 규격에 보면, 축의 공차 등급을 먼저 결정해 놓고 난 구멍의 공차를 선택하는 <축기준>과
구멍의 공차 등급을 결정하는 <구멍 기준>이 있습니다.
이 역시 규격에 정해져 있습니다. 축기준의 경우 세로로 h5,6,7,8,9,10이 있고 가로로 억지 중간, 헐거움
끼워맞춤이 되는 구멍의 공차를 적어두었습니다.
축의 경이 20이고 억지끼워맞춤을 한다..라고 했을때, 표에서 축기준이냐 구멍기준이냐를 먼저
결정하고 축 기준이라고 했을 때, h5~10 중에 하나를 선택한다음 억지 끼워맞춤 칸에 있는
구멍에 적용할 기호를 선택하면 됩니다.
축경 20, 축 기준, 축의 공차는 h6,이라고 했다면 해당되는 구멍의 끼워맞춤 공차는 P7,R7,S7…
등에서 고르면 되지요.
물론 h6에 해당되는 공차도 규격에 표로 되어 있습니다.
이 모든것이 규격에 정해져 있습니다. 설계자는 규격을 보고 공차를 써 주기만 하면 되구요.
단지 억지, 중간 헐거움 끼워맞춤 중 어느 끼워맞춤을 할것인지만 선택해 주면 됩니다.
베어링과 축이 조립될때 축을 중간으로 할거냐 억지로 할거내…를 설계자가 정해주면
나머지는 규격대로 하면 됩니다.
끼워맞춤 기호 적을 때…축은 소문자, 구멍은 대문자로 적도록 약속되어 있습니다.
경 20h7…이건 축입니다. h가 소문자지요, 축20에 h7급은 +0.021~ 0 입니다.
경20 H7…이건 구멍입니다. H가 대문자지요. 구멍 20H7급은 0 ~-0.021 입니다.
여기서 H,h는 기초 치수등급이고, 7의 공차 범위 입니다.
설명이 어려울지 모르지만…
아래 가셔서..표준번호에 B0401을 넣어 검색하시면< 치수공차및 끼워맞춤>에 대한
KS 규격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퍼온 글 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아래는 ks규격 구경해보세요
http://www.standard.go.kr/CODE02/USER/0B/03/SerKs_Search.asp?OlapCode=STAU0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