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가지로 작업을했는데.
하나는 조립도만으로 붙여서 메인 조립도를 만들고(부품 4100개정도)
하나는 파생을 활용해서 부품화 시켜서 조립을 하였습니다.(1900개정도)
근데 질문할게 조립도만을 해서 작업한거보다 파생을 이용해서 작업을하니 오히려더 메모리를 더 많이 요구하는거 같은데. 원래 그런건지영.
파생으로하니 조금수정을 가할때마다 엡뎃하면 완전 죽음;;
않그래도 컴터가 후져서 미치겟는데 ㅠ (펜4 램1기가 지포스6600ㅡㅡ;램도 256 4개-_-. 환장함.바꿔줄꺼같진않고. )아 이야기가딴곳으로..;
알고싶은건 파생으로할때와 서브조립도로 작업을 할때 메모리 쓰는양이
틀린지 그게 알고싶네여.. ~_~ 알려주세여~
공유
사양을 올리세요 -_-;;부품 3천개가 넘어가면 64비트에 램4기가는 달아줘야..;;;저두 부품 많을땐 천개 좀 넘는데 기본 사양이 그래픽2개에 램4 64비트 XP입니당.;;ㅋ
흐흐.사양이라-_-; P4 3.0 RAM 1G(SD2564개로추측않뜯어봐서;) Gforce6600 볼트 너트 와셔 다포함 부품 4122개네영.이걸밀러시켜야하는데. 총 8000개 그건 무리일꺼같아서 걍따로 -_-
할예정임; 아 질문은 파생구성요소로 부른거랑 서브조립도 그대로쓰는거랑 메모리사용량차이가궁금한;
훔딴부분이랑 다합치면.. 1만개 넘어가는데.. 컴터 폭발하지 않을까요 ㄷㄷㄷ;; =_=.. ㅋㅋ
고수 님께 패스 ㅋ ㅋ 전 사양을 올리란 말씀밖엔 ㅋ
그림에서 왼쪽이이 총 부품수고 오른쪽이 중복되는거 말고 발생된 부품수죠?(결국 에러뜨네젠장..작업진행불가.ㅠㅠ)
조립품의 "가변" 해제하시고 "스케치" 를 안보이게 하고 해보셨나요?
일부는 탑다운으로 하긴햇는데. 덩치큰넘들은 거진 바텀업으로 그려서 가변자체를 주지않았어영..
훔. 생각 해보니.. 가변 영향이 있을수있겟군여…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지금은 일단. 하더건 마무리를 지으긴햇는데. 또해야할께=_=.. 거진 만개~또는 오버 정도되는게 산더미라. 그렇게해봐야겟네영^^
가변을 삭제 하지 마시고 "억제" 하시면서 필요시에만 가변을 ON하시면서 쓰세요. 가변이 많아지만 많아질수록 컴퓨터에 로드가 많이 걸립니다.
첫번째 숫자는 활성 문서의 총 발생 수이고
두번째 숫자는 세션에서 열린 문서 수 (파일 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