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AIP 9를 사용합니다.
새로이 추가된 Layer의 필요성은 뭔가요? 어디에 활용할수 있는지..또 홀작업시 한번의 스케치로 각기 다른 홀. 즉 하나는 탭, 하나는 카운터, 다른하나는 관통홀등을 동시에 작업가능한것 같은데 어케해야하는지..도통..^^;
그리고 Standard Tool Bar의 Hole Center Icon과 Driven Dimmension Icon은 언제사용하는지요?
공유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어라! 대경엉아 무지 올만이네……근디 9 안써봐서 몰러~~~><
— 김대경님의 글
새로이 추가된 Layer의 필요성은 뭔가요? 어디에 활용할수 있는지..
================================================================
인벤터9 뉴스그룹을 보면 같은 질문이 많습니다. 오토캐드에 익숙한 인벤터 사용자들은 인벤터에서도 layer를 원해 왔지만, 또다른 인벤터 사용자들은 layer가 인벤터에서 전혀 필요없다고 느낍니다. 따라서 인벤터 9에서 소개된 layer 기능은 사용자들 사이에 찬반이 엇갈리고 있죠. 레이어가 필요없으면 사용 안 하면 됩니다 (하지만 다음 글을 읽어 보세요).
다음은 인벤터 뉴스그룹의 Layers, why? 라는 제목의 thread 중에서 Rory라는 사용자가 올린 글입니다.
—————– Rory의 글 시작 ———————-
인벤터9에서 레이어 기능이 더해진다고 처음 들었을 때 별로 반갑지가 않았다. 인벤터가 오토캐드로 하향하는 것 같아서였다. 하지만, 이제는 생각이 완전히 바뀌어서 인벤터 레이어가 아주 편리하고 필요한 기능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당장 생각나는 이유를 몇 가지 들자면,
—————– Rory의 글 끝 ———————-
윗그림은 Rory가 올려놓은 스크린샷입니다 (Jpeg으로 변환하면서 화질이 떨어졌다고 하네요). 놀랍게도 둘다 인벤터의 IDW 파일입니다. Rory는 두 개의 standard를 설정해 놓았다고 합니다. 하나는 인벤터 전용을 위해 (상단 그림), 다른 하나는 오토캐드 export를 위한 것 (하단 그림)이고, 각자의 레이어 설정이 다르답니다.
인벤터 IDW를 오토캐드 DWG로 변환하기 전에 이렇게 했다고 합니다.
하면 IDW가 하단 그림으로 바뀐다고 합니다.
— 김대경님의 글
홀작업시 한번의 스케치로 각기 다른 홀. 즉 하나는 탭, 하나는 카운터, 다른하나는 관통홀등을 동시에 작업가능한것 같은데 어케해야하는지..도통..^^;
————————————————–
하나의 스케치에 hole center가 여러 개 있고 각각 다른 홀로 생성하려면, (1) 홀 피쳐 > (2) 모든 hole center가 자동선택됨 > (3)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원하지 않는 hole center들을 선택해제 > (4) 홀 피쳐 작성 > (5) 스케치 공유 > (1)~(4) 과정을 다른 홀 타입으로 반복.
하지만, 인벤터 9에선 홀 피쳐에서 더 이상 스케치가 필요 없습니다. 윗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Linear, Concentric, On Point 등을 사용하시고 Apply 버튼을 눌러가며 계속 다른 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스케치를 따로 그리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절약될 뿐만 아니라, 다른 면에 홀 생성 및 다른 홀 타입을 연속적으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파워풀합니다. 강추!
— 김대경님의 글
Standard Tool Bar의 Hole Center Icon과 Driven Dimmension Icon은 언제사용하는지요?
———————————————————–
윗그림처럼 인벤터 9의 스케치 모드에서 네 가지의 새로운 버튼이 있습니다. 예전 버젼에서 풀다운 메뉴로 있던 것들이 버튼으로 바뀌었습니다. 마우스 클릭 수를 많이 줄일 수 있을 겁니다. 또 편리한 점은 네 가지의 버튼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첫번째와 두번째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선을 그리면 구성 중심선 (construction centerline)이 됩니다.
첫번째 버튼을 누르면 구성 (construction)이고, 누르지 않으면 일반 (normal)입니다.
두번째 버튼을 누르면 중심선 (centerline)이고, 누르지 않으면 중심선이 아닙니다.
세번째 버튼을 누르면 구멍 중심 (hole center, 십자 모양)이고, 누르지 않으면 스케치 점 (sketch point, 그냥 단순한 점 하나)입니다.
네번째 버튼을 누르면 구동된 치수 (driven dimension)이고, 누르지 않으면 일반 치수 (normal dimension)입니다.
구동된 치수 (driven dimension) 는 새 기능이 아닙니다. 예전 버젼에도 항상 있었으며 한글판에서 “구동된 치수”, 영문판에서 “driven dimension”으로 도움말 검색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구동된 치수는 괄호 안에 표현되며 스케치 형상의 현재 값을 나타냅니다. 구동된 치수는 형상이 바뀔 때마다 업데이트되지만 직접 편집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하나를 그리고 가로 30mm, 세로 20mm로 일반 치수를 준 다음, 세로선을 구동된 치수로 바꾸면 20mm가 괄호 안으로 들어갑니다. 가로선 하나를 잡고 위아래로 드래그하면 괄호 안의 값이 업데이트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구동된 치수를 더블클릭하면 편집 불가능하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Layer 는 오토캐드 외에도 대부분의 그래픽, 출판물 프로그램에도 다있읍니다, 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