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모아에서 mv장 생성관련해서
–“보통 ms공간에서 도곽의 왼쪽하단을 0,0 으로 기준을 잡습니다…
이동시켜도 나중에 0,0으로만 갔다 놓으면 되니까여.”–
라는 설명이 이해가 되지 않고
–“mv>0,0>@841,594 를 합니다”–
라는 명령행은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공유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쉽게 설명해주실려고 노력하신거 같은데 이해하기 어렵네요.(내공부족) 10번 정도 읽고 따라해보고 해야겟네요^^
기능을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게 현실인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
mview 는 제대로 알고 쓰면 정말 큰 도움이 되는 기능입니다. 대게는 이런것을 설명이 된 책도 흔치 않고 자료가 있더라도 글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으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대로 쓰고있지 못해서 제대로 된
감사합니다. 어느정도 이해가 가내요.
주위에 아는사람도 없고 설계실에는 이런도면들이 돌아다니고 책에도 잘 안나와서 고민 중이었는대 그래도 좀 풀리내요
하긴..말로 하면 10분이면 돼는데…. 그냥 책에서는 너무 어렵게 돼어 있어서리… ㅠㅠ
Q 1) –“보통 ms공간에서 도곽의 왼쪽하단을 0,0 으로 기준을 잡습니다…
A 1) 위 첨부 이미지가 mview 의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최대한 이해가 되게끔 한다고는 했는데…이해에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네요.
ms 공간에서 0,0,0 기준을 잡아야 하는게 작업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블럭이든 외부 참조 작업이든 mview 작업이든 기준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mview 의 특성상 ms 상의 도면을 위치 이동하게 되면 위 그림 처럼 ps 상태에서는 도면이 사라져 버리고 없습니다.
해서…. 도면의 기준점은 wcs 점과 동일하게 0,0,0 을 잡아서 작업하는 것 입니다.
도면에서의 기준점이 생긴다는 것은 앞으로도 기타 다른 작업에도 많은 도움이 되므로 도면은 특별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wcs 기준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
———————————————————————
Q 2) –“mv>0,0>@841,594 를 합니다”–
A 2) 명령어 ‘mview’ 단축키 mv 입니다. “>” 이 마크를 엔터라고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해가 되시겠죠?
이 명령구문을 설명을 하자면…
ps 상태에서 명령어 mview (위 첨부 그림 참고) 라는 명령으로 일종의 ms의 화면을 볼수 있는 투영창을 만드는 것 입니다.
0,0 (엔터) 841, 594 (엔터)
이 구문은 841*594 의 mview 창을 만든다는 의미 입니다.
1:1 기준으로 mview 작성을 하시고 A3 용지가 도면작성의 기준이 된다면,
0,0 (엔터) 420,297 (엔터) 가 최대 값이라고 생각 하시면 되겠습니다.
———————————————————————
질문 이해가 제대로 되어서 제대로 된 답변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mview 는 글로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