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책을 통해 mview의 기능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따로 활용할 일이 없으니,
알게 되지를 않아서요.
가끔 업체로부터 도면을 받다보면 miew를 활용해서 되있더라구요.
제가 알고 있는 개념은 ms와 ps명령어 정도밖에 모르고요.
zoom이나 scale을 통해 디테일 도면 할 때 크게 가지고 올 수 있는것 정도요………………..
mview를 잘 활용한다면, 도면 작업이 좀 용이하게 될것같은데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어떤 때에 사용하며, 어떻게 활용가능한지 부탁드려요.
굉장히 긴?? 내용이 될 수도 있을 것 같기도 한데요.
꼭 부탁드립니다. ㅜㅠ
공유
앗, 따라해보다가 잘못 눌러서 아래 탭이 없어졌어요. 시트들 표시요
모령, 배치1, 배치2
다시 나타나게 하려면 어떻게 하죠?
알 것 같기도 하고 …………… 어렵네요……………….
한번 해보면 막상 쉬울 것 같기는 한데……………………..
좋은 정보 감사해요 ^^
아래는 http://www.archioffice.co.kr에서 퍼온건데..도움이 될 듯 하네여!
[배치(Layout) 작업의 개념 및 작업방법]
1) 배치(Layout)작업은 개념만 알면 아주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2) 배치는 종이공간으로서 프린터(플롯)하는 종이(A1.A2,A3,A4..)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3) 페이지설정 관리자에서 프린터 기종 및 용지크기를 정하면 배치의 기본 크기가 정해집니다.
4) 여기에 도면쉬트를 삽입하면 기본적인 틀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5) 배치(종이공간)는 뷰포트를 통해서 모형도면을 보여줍니다.

* 뷰포트의 축척(사용자 축척)에 의해 모형도면의 보이는 크기가 정해집니다.
6) 뷰포트는 MV 명령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복사, 이동, 크기 조정등을 할 수 있습니다.

* ArchiOffice의 XMV명령을 이용하시면 다양한 모양의 크기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뷰포트별로 각각 축척을 줄 수 있으며, UCS각도도 각각 줄 수 있습니다.
7) ArchiOffice의 뷰포트관리 기능을 이용하시면, 배치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8) 주석축척 기능을 이용하시면, 문자, 치수, 해치 간격등을 뷰포트 축척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습니다.
9) 배치탭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시면, 배치 이름변경, 복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10) ArchiOffice에서 제공되는 기타 유용한 명령으로는…
XDWG2 ==> 배치를 각각 모형도면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XPLOT2 ==> 배치를 연속으로 플롯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