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대전 중이였다면 pipe의 규격이 2″라면 그 내경은 50.8mm 였을거다.
그러니 pipe의 두께가 변하면 외경이 변하는 것이 당연한 일….
지금도 tube의 규격은 내경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알고있다
그런데 어느 때 부터인가 외경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 더 타당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이를 기준으로 정하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예로 2″의 pipe의 외경은 KS 규격은 60.5 ANSI규격은 60.3
으로 표기된다.두께인 schedule no. 가 변하더라도 pipe의 외경은 변함이 없고 내경의 변화만 있을 뿐이다.
10S,20S,schedule40,#80,#160,X-strong.XX-strong 등은 pipe의 두께를 나타내는 용어다.
외경을 기준으로 삼는 것은 모든 fitting의 규격을 통일하기 위함이리라
예전의 pipe fitting은 과연 어떻게 제작 되었을까?
추측만 할 뿐이다.
또한 에피소드 하나
지금도 JIS 규격은 ANSI규격과 비교해 볼때 4인치 이하는 그 외경이 크고
5인치에서 12인치까지는 ANSI 규격이 외경이 더크다.
초창기의 기술로 fitting을 제작하였을때 4인치 이하에서는 ANSI pipe에 JIS fitting은 사용할 수 있어도 JIS pipe에 ANSI fitting을 사용할 수 없게된다.
이럴땐 어느 것이 더 경쟁력 있는 생각일까?
추가로 14인치 이상의 pipe는 그 외경이 호칭경에 25.4mm를 곱하면 그 외경이 된다.
그 이하의 pipe는 호칭이외의 뜻은 없고 그 외경은 일일이 기억해야될 사안이다.
참고 하나 더 KS는 JIS 규격을 모방하여 그 치수는 동일하다
역시 대선배님다운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굿 입니다~~
"풀어쓰는 이야기기계설계"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