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현재 설비설계 사무소에 다니고 있습니다.
얼마 전부터 RevitMEP를 공부하고 있는데, Tutorial만 가지고 공부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아직 많이 공부한 것은 아니라 좀 엉뚱한 질문을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Revit Architecture로 만들어진 파일(즉,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작성한 건축도면)을
MEP로 불러오고 난 후에 MEP로 도면 작업을 하려면 제일 먼저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하는 것입니다.
레빗가족분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유
현재 CAD환경에서는 “건축도면 중 필요치 않은 layer를 삭제함으로써 도면 작업 준비를 합니다”라고 하는데 RME(이하 Revit MEP의 약어)에서는 건축의 rvt 파일을 링크해서 사용합니다.
필요치 않은 layer 삭제및 정리 작업이 필요없습니다.
뷰 분야를 변경하면 (예를 들어 기계 분야) 표시되지 않을 분야의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그외에 자신의 분야에서 불필요하거나 표시되지 않길 원하는 데이터는 가시성/그래픽 등으로 표시되지 않게 합니다.
스페이스 검토에 해당되는 부분은 RME에서는 실(Room) 객체를 작성하면 될것으로 보입니다.
처음부터 REM Tutorial만 보고 익숙해지기는 어려울것입니다.
RME를 위해서 Revit 제품군(Revit Architecture, Revit Structure, Revit MEP)의 공통적인 개념, 인터페이스,조작등에 대한 기본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Revit Architecture를 익숙하게 다룬다면 Revit Structure, Revit MEP의 도구(tool) 조작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다른 분야의 사용자가 문제가 되는 것은 구조, 설비를 모르는것이 문제이지, 이들 프로그램 조작은 문제가 되는게 아닙니다.
답변 감사 드립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자면,
우선 건축도면을 확인하고 스페이스 검토를 합니다. 협의 내용을 토대로 시스템을 계획하구요.
그 다음에 건축도면 중 필요치 않은 layer를 삭제함으로써 도면 작업 준비를 합니다.
MEP의 경우 CAD와 인터페이스 및 작업방법에 많은 차이가 있어
막상 MEP를 시작하려니 뜬구름 잡는 것 같아 질문을 드린 건데,
좀 애매하게 질문을 드린 거 같아 부끄럽네요..
공부를 좀 더 하고 오겠습니다~~~^^;
굉장히 난해한 질문이군요…^^
제가 역으로 질문을 먼저 드리자면, 현재 설계사무실에서 도면을 받으시면 제일먼저 무엇을 하십니까?
ㅋㅋㅋ
그것과 같은 맥락의 질문이라고 생각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