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이야기 한것처럼 말입니다…
지금까지 나와 있던 축척은 출력할 때 어떻게 어떠한 배율로 축척하여 출력하는가를 이야기 한 내용만 있었습니다…
한장의 도면을 그릴때에는 그 도면 외곽선과 표제란 부품란이 만들어져야 하잖아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야기할 때에는 출력할때 도면외곽 BOX를 넣는다고 하지만..그건 좀 힘든것 같습니다..
A2 도면사이즈에 도면을 그릴려면 미리 만들어진 A2도면 템플릿을 불러내서
도면을 그려야 할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즉, 모형에 도면 Box와 객체가 동시에 존재해야 하겠죠….
그래서 객체는 1/2로 되었으나 치수는 1/1로 기입할 수 있는 방법”””
을 묻고자 합니다…
물론
Dimscale 도 아니고 Dimaso도 아닙니다…
dimlfac
저는 이렇게 합니다.
– 도면을 그립니다.
축척에 관계없이 1:1로 그립니다.
– 외곽 타이틀을 불러 옵니다.
물론 실 size로 불러 옵니다.
A4라든가 A3,A2등 불러 옵니다.
– 이 외곽 타이틀을 일정 비율로 확대를 합니다.
2배,3배, …내지 100배… 아니면 그 이상으로도…..
확대한 외곽틀에 도면을 잘 배치 될정도로…..
– 위의 확대한 값을 DIMSCALE에 넣습니다.
지금은 컴퓨터로 작업을 하기때문에 외곽 타이틀 크기에 맞춰서 축척을 조정하여 작업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실제 크기에 그리면 되죠. 일단은 체크도 가장 쉽죠.
님의 작업은 위의 방법과는 반대로
– 도면을 그린다. 실크기대로…
– 타이틀 외곽을 불러온다.
– 도면을 일정비율로 줄인다.
타이틀 외곽에 들어갈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 치수값을 몇배로 확대할것인지 축소할것인지 계산하여
DIMLFAC를 조정한다.
이같은 님의 방법은 크기를 체크할때 항상 DIM이라는 명령만을 써서 체크를 하는수밖에 없습니다. DIST라든가 그런 명령어는 사용하더라도 또 일일이 계산을 하여야 하기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님의 방법보다는 처음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님 dimension 도면 그릴때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자세히 공부하시는게 낳을겁니다. 좌측 하단에 tip&tech 7번을 참고하세요
음… 질문은 한 곳에다 몰아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답변이 분산되므로 동일란 답변을 여러회원들 께서 달아 버리므로…
아래에서도 리플을 달았지만 정말 불가피한 상황이 아닌 이상… 절대 잘못된 방식입니다, 스케일로 객체를 줄이는 것은 최소화 해야 합니다.
도면을 그리고 난 후에.. 도면 scale 변경후 dim의 수치가 바뀌어서 원래의
dim 수치로 만들고 싶다는 말씀 같은데… 그럼 dim만 선택한 후에
properties–>categorized–>primary units–>dim scale linear로 조정하면
해결될듯 한데여…
그건 dim설정에보면 1차단위 안에 측정축척안의 축척비율로 조정할수있습니다.
님이 질문하신거이 1:100도면안에서 1:50의 도면을 참조로 같이 그릴려고 하는것 아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