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에는 부품색이 나타난 부품을 단순 대칭으로 생성시키신 모델링이 은선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대칭했을 시에 솔리드로 결과물을 생성시키지 않으시고, 면으로 생성시켰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대칭 명령 실행 시, 상단 옵션 버튼을 보게 되면, 면으로 할지 솔리드로 할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있는데, 기본 선택이 면이므로, 솔리드로 선택하신 뒤 하시면 될 듯 합니다.
다 안나오는 경우는 애초에 만들어진 모델링이 솔리드가 아니라, IGES 등의 확장자 명을 가진 surface 모델링이라는 가정을 할 수 있습니다. 재첨부해주신 것처럼 나오지 않게 할 수도 있습니다. 모델링에서 도면 정보를 가지고 올 때 뜨는 창에 보면, 면을 첨부하신 그림과 같이 표시하지 않고 솔리드와 똑같이 재질감을 표현하게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 옵션을 확인하시면 될 듯 합니다. 단순 조립도과 분해도를 그리신다면 그렇게 할 수 있지만, 해당 부품의 제작도면을 그리신다면 솔리드 형상을 어떻게든 구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보기에는 부품색이 나타난 부품을 단순 대칭으로 생성시키신 모델링이 은선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대칭했을 시에 솔리드로 결과물을 생성시키지 않으시고, 면으로 생성시켰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대칭 명령 실행 시, 상단 옵션 버튼을 보게 되면, 면으로 할지 솔리드로 할지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있는데, 기본 선택이 면이므로, 솔리드로 선택하신 뒤 하시면 될 듯 합니다.
아 감사합니다!
제가 조립도로 받아서 분해도랑 도면을 만들어야 하는데 제가 지금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가요?
근데 또 하나가 대칭으로 만들엇다는건 똑같은데 양쪽다 안나오는 경우는 무엇인가요?
다 안나오는 경우는 애초에 만들어진 모델링이 솔리드가 아니라, IGES 등의 확장자 명을 가진 surface 모델링이라는 가정을 할 수 있습니다.
재첨부해주신 것처럼 나오지 않게 할 수도 있습니다.
모델링에서 도면 정보를 가지고 올 때 뜨는 창에 보면, 면을 첨부하신 그림과 같이 표시하지 않고 솔리드와 똑같이 재질감을 표현하게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 옵션을 확인하시면 될 듯 합니다.
단순 조립도과 분해도를 그리신다면 그렇게 할 수 있지만, 해당 부품의 제작도면을 그리신다면 솔리드 형상을 어떻게든 구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해당 부품 ipt나 iam을 주시면 상세한 옵션 설정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아정말감사합니다ㅠㅠ
혹시몰라 두개다 보내드릴께요
TRAY STOPPER-1 분해도.idw TRAY STOPPER-1 분해도.ip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