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금의 모델링에서 정확한 절곡부허용오차를 적용하기위해 업체에서 사용하는 연신율표를 받아서 인벤터에 적용을 하려고합니다.
그래서 판금유형에서 어떤값을 바꾸어야하나 고민을 하던중 K요인값이 있더군요
해서 이값이 어떻게 계산이 되나보니 아래와 같더군요
2*PI*(절곡부 반지름 + 선형 간격띄우기*두께)*(절곡부 각도/360)
근데 여기서 선형 간격띄우기가 어떤값인지 궁금하군요??
참고로 업체에서 보내준 연신율표를 올립니다.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려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해당 질문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답변을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해당 유저를 신고하는 이유를 간단히 입력해주세요.
강아지 아빱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님의 생각 보다도 인벤터에서 제공하는 밴드 테이블을 이용하시는 것이
바른 방법입니다.. 테이블 사용법은 인벤터폴더에 샘플폴더에 보시면 밴드테이블 예제가 있습니다.. 물론 판금 유형에 플렛패턴 전개 방법을 절곡부 테이블로 설정한 후 사용하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이지훈)님의 글
판금의 모델링에서 정확한 절곡부허용오차를 적용하기위해 업체에서 사용하는 연신율표를 받아서 인벤터에 적용을 하려고합니다.
그래서 판금유형에서 어떤값을 바꾸어야하나 고민을 하던중 K요인값이 있더군요
해서 이값이 어떻게 계산이 되나보니 아래와 같더군요
2*PI*(절곡부 반지름 + 선형 간격띄우기*두께)*(절곡부 각도/360)
근데 여기서 선형 간격띄우기가 어떤값인지 궁금하군요??
참고로 업체에서 보내준 연신율표를 올립니다.
저두 아직 플랫패턴을 실무에 적용을 못해봤거든요. 공부중…참고로 님한테 메일보냈는데 참고해 보세요
일반기계와 판금(하우징)쪽을 병행하고있습니다. k값은…우선 현장 실무자이 연신율 적용을 어떻게 하는지를 알아야 할것같네요.
근데 벤딩량을 구하는 공식에서 K factor은 어떤값을 주어야하나요?
님은 어떤업종에 종사하세요?
고맙습니다.
http://www.sunghosys.co.kr/punch/bend.htm 방문해보세요 소재의 내측에서부터 중립축까지의 거리를 두께로 나눈 값이라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