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셈..저 캐드를 시작한지 얼마안된 초짜입돠…
도면을 그리기 전에 그 도면이 들어갈수 있는 테두리
를 먼저 그리고 그 다음에 도면을 그리자나여..
만약 A3의 도면을 그린다고 가정했을때 리미트가 420,297이져.
그럼 이 A3의 도면 크기보다 조금은 작게 테두리를 그려야 하자나요.
플롯할때 종이를 프린터가 잡을수 있도록 말이져..
그래야 완벽하게 도면이 안 잘리고 출력되니까여..
결론적으로 제가 님들한테 묻고 싶은 건 종이의 크기가 A4,A3,A2,A1,A0
일때 상화좌우의 각각 X,Y축으로 얼마식 띄우면 플롯이 제대로 되는지요..
초자인 제가 생각하기론 이게 저한텐 제일 어려운것 같아요…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도면을 그리기 전에 ….
공유
따라지님 말대루 출력장치마다 다르다는게 정답이네요…
대충 종이사이즈의 95%정도면 적당할겁니다..
레이저프린터로 뽑는다면 보통 여백이 상하좌우 5mm정도
되걸랑요..
오늘 따라지성 한가한가보넹…^^
니뿔도 많이 달구..그날 술을 덜 마셨더만 이상해…ㅠㅠ
사용하는 출력 장치에 따라 다릅니다.
레이져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그리고 플로터.. 등등
각자 여유가 다르기 때문이죠..
그래서 흔이들 extents로 출력을 하는데 그러면 자동으로 설정하여
프린트 합니다.
그러나 테두리 밖에 참고로 그린 도면이 있다면 그것까지 출력 되기
때문에 box 밖은 삭제 해야만 하죠..
그리구 limits 로 출력을 하면 배율에 따라서 limits를 수정해야 하구요..
displqy로 출력하면 일정한 폼을 유지 하기가 어렵습니다.
참고로 저는 limits로 출력을 하며 여유는 레이져 프린터를 기준으로
작성 합니다.
님이 사용하시는 출력 장치에 맞게 box를 그려 가며 확인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extents로 출력 할거면 그냥 box만 정해주면 되구요..
a1= 841,594 a2=594,420 a3=420,297 a4=297,210 이구요.
=== 따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