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가변을 줘야 함은 물론이고 함수로 계산식을 넣어 제어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케이블의 유동을 어색하게 나마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컴퓨터 사양이 낮다면 시뮬레이션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엄청 느려서요. ps. 계산식이 들어가거나 가변이 들어가면 유난히 시뮬레이션 구동이 느려지더라구요.
바쁘실텐데 이렇게 상세히 답변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제 실력으론 구동은 힘들 것 같아 조립이라도 완성시켜보려고 휘어진 가변 케이블을 접선으로 구속조건을 주면 자꾸 오류가 생겨서 이것저것 해보고 고민을 해봐도 해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 모델링만 할 줄 알지 인벤터를 능숙하게 하려면 아직 한참 멀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 학원이라도 다녀야 될 듯 싶네요 ^^;
중력으로 휘어지는 구동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알구요.
비슷하게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은 가능하지만, 역시 어색합니다.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 비슷하게 구현 가능하다는 말씀은 혹 가변을 줘서 해야하는 것 인지요 ?
네.
가변을 줘야 함은 물론이고 함수로 계산식을 넣어 제어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케이블의 유동을 어색하게 나마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컴퓨터 사양이 낮다면 시뮬레이션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엄청 느려서요.
ps. 계산식이 들어가거나 가변이 들어가면 유난히 시뮬레이션 구동이 느려지더라구요.
바쁘실텐데 이렇게 상세히 답변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제 실력으론 구동은 힘들 것 같아 조립이라도 완성시켜보려고 휘어진 가변 케이블을 접선으로 구속조건을 주면 자꾸 오류가 생겨서 이것저것 해보고 고민을 해봐도 해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
모델링만 할 줄 알지 인벤터를 능숙하게 하려면 아직 한참 멀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
학원이라도 다녀야 될 듯 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