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Bradenton,FL
만든이: Sean Dotson
ipt파일을 다운받아 조립모델에서 쓰고자 하는데
스프로켓이 두개일때 두가지의 치수가 틀린데
각각 다른치수를 주고
업데이트하면 두개가 같은치수로 변하는데
각각 다르게 치수를 부여하는 방법좀 알고싶네요
예를들어 하나는 잇수가 15개, 다른하나는 30개
이런식으로요…!
그리고 엑셀식에서 단위가 인치로 되어있어서
저같은 경우 MM로 환산해서 값을 넣어서 쓰는데
MM로 아예 변환해서 쓰시는분 방법좀 알켜주심 고맙겠는데요
아님 i-part파일을 mm로 변환해서 자료실에 올려놓은면
초보사용자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질 않을까하는
저의 작은 소망입니다.
이크.. 저는 엑셀에서 각값에 25.4를 곱하시면 된다는 야긴데. 엑셀은 수식이 쉬우니까요.. 좀작업이 필요하긴 하지만..
또, MM변환에서 엑셀에서 mm로 편집할수 있겠지만 실제 모델링상에서 그값을 인치로 인식하지 않나요?
죄송합닏. 알고보니 i-part파일이 아니고 일반부품처럼 편집해서 쓰는 모양이네요.
mm 변환은 i-part원본을 열어보면 브로우저 상단에 서드파티라고 임베드된 엑셀파일이 있습니다.. 엑셀을 mm로 편집하고 저장하시면 사용하실수 있지 않을까요..
좀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원칙으로 i-part는 원본은 유지하며 호칭이 다를시 다른 이름으로 저장 됩니다..
예를 들어 스프로케 원본 파일을 sp.ipt라하고 이를 구성요소 배치를 이용하여 잇수15로 배치하면 sp15.ipt로 저장되고 잇수30은 sp30.ipt로 저장됩니다. 물론 파일이름은 사용자가 i-part를 만들때 지정 할수 있습니다.
— 조기상님의 글
회사: Bradenton,FL
만든이: Sean Dotson
ipt파일을 다운받아 조립모델에서 쓰고자 하는데
스프로켓이 두개일때 두가지의 치수가 틀린데
각각 다른치수를 주고
업데이트하면 두개가 같은치수로 변하는데
각각 다르게 치수를 부여하는 방법좀 알고싶네요
예를들어 하나는 잇수가 15개, 다른하나는 30개
이런식으로요…!
그리고 엑셀식에서 단위가 인치로 되어있어서
저같은 경우 MM로 환산해서 값을 넣어서 쓰는데
MM로 아예 변환해서 쓰시는분 방법좀 알켜주심 고맙겠는데요
아님 i-part파일을 mm로 변환해서 자료실에 올려놓은면
초보사용자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질 않을까하는
저의 작은 소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