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배관 리습(dh menu)로 작성된 도면 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위도면(111.dwg)에는 용접포인트가 빈점으로 찍히고
아래도면(222.dwg)에는 용접포인트가 제대로 찍힙니다.
그러나 위도면(111.dwg)의 객채를 복사해서 아래도면(222.dwg)에 붙여넣으면 용접포인트가 보입니다.
포인트가 빈도면(111.dwg)로 플롯하면 빈점 그대로 플롯됩니다..;
무슨 변수가 잘못된거 같은데 찾지를 못하겟습니다.
해결좀 부탁드리겟습니다. 파일은 압축해서 올립니다
음…… block 이름이 두개…..Donut. Dunut , 위 111번 도면에는 Donut 블럭은 있고Dunut블럭은 없네요. 222번 도면에는 Donut 과Dunut블럭 두개다 있고요~~ 어떤이유에서인지 Dunut 블럭이 인서트 안되있네요~~ 도면 만 봐서는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블럭을 만들때 안쪽과 바깥쪽 , 각각 다른 블럭으로 블럭이 만들어진듯…..
블럭문제는 아닌듯 싶어서요 111상의 빈점 엔티티를 222로 복사해가면 꽉찬 포인트가 됩니다..^^;;
그러니 만들어 지기는 제대로 만들어진듯한데 먼가 변수나 먼가가 잘못되서 표현 안되는듯해서요
block을 살펴보니까요~~ pipe라는 레이어의 써클로 만들어진 Donut이라는 이름의블록인데요~ 이블록을 한번에 만든게아니라 흰색 부분을 Dunut라는 블록으로 만든후, 그 블록을 인서트한후 4번색으로 바깥쪽에 써클을 하나더 그려서 Donut이라는 이름의 블록을 만든거네요~ 레이어는 물론 다 pipe구요~
lisp을 한번올려봐주시죠~~ 블럭이 지정되있는 템플릿도면도 올려봐주시구요~~
하나의 블럭안에 또 다른 이름의 블럭있다면 충분히 일어날수있는 현상이라생각됩니다~
~~~~~~~~~~~~~~~~~~~~~~~~~~~~~~~~~~~~~~
111상의 빈점 엔티티를 222로 복사해가면 꽉찬 포인트가 됩니다 ==> 요~ 내용은 요~ 양쪽 블록 이름만 같으면 당연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반대로 해보면 (222에서 111로 복사) 써클 안이 빈 블록이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