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을 위해서 파일을 하나 만들었읍니다만,
한글폰트가 없어 내용은 본 게시판에 적겠읍니다.
동그라미1. 다음과 같은 부품이 있다고 가정하겠읍니다.
-예를들어, 자동차의 머플러같은.
동그라미2. iges형식의 데이터를 받아 ipt에서 데이터를 변환시켜
상기와 같은 데이터가 생성되었읍니다.
동그라미3. 데이터를 X,Y좌표와 평행직각으로 돌리고 회전시켜,
좌측면을 Y라인과 평형하게, 그리고 데이터의 중심부를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하고자 할때,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방법을 좀 알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속보 (2006년 11월): SpaceNavigator 라는 신제품이 단돈 $59 (약 6만원) 에 나왔습니다. 3Dconnexion사 홈페이지 ( http://www.3dconnexion.com/ )로 가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http://inventor.gocad.co.kr/main.php?part=info&code=inventorqa&mode=search&load=view&id=3638&start=13
약 1년 전, SpaceTraveler 의 가격이 $499 에서 $199 로 내렸습니다.
저는 왼손으로 SpaceTraveler 를 사용합니다. 왼손은 회전, 이동, 줌 등을 자유자재로 하는 동시에 오른손은 마우스를 사용합니다.
동영상을 보다 보니 회전 명령을 쓰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 같은데…어찌 하신 건지…??
^-^
마술사가 아니라…마스터(MASTER)이십니다. 인벤터를 직접 프로그래밍하신 분들 중 한분이시니까요
네… 인벤터 Wish List 에 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http://inventor.gocad.co.kr/main.php?part=bbs&code=free&load=view&id=602&start=2
앗, 글제목이… 과찬이십니다^^
인벤터에서는 직접은 안되고 여러단계를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S/W에서는 파트파일 내에서 간단히 움직여지는 것도 있는데 인벤터에서도 실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벤터 개발자들도 잘 알고 있겠지만 꼭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답글과 첨부동영상을 보면서 웬지 그런 생각이 들었읍니다.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저녁에(아니 밤인가….) 몇번 연습으로 이제 조금 이해를
하게 되었읍니다.
인벤터기초를 조금 이해하고, 이제 업무에 들어가자……
근데 그게 아니라는걸 알게 되었읍니다.
데이터변환과 서피스 그리고, 파트의 재배치.
고민과 함께 몇분들의 아낌없는 조언으로 조금씩 이해의 폭을
넓힐수가 있었읍니다.
작업피쳐들의 숙달이 참으로 중요하겠구나… 생각했는데,
좀더 연습을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읍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최대어님, 이미지를 올려 주셔서 질문을 이해하기가 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중립 파일을 부품 내에서 직접 돌리는 방법은 없습니다만,
간접적인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요약하자면…
중립 파일을 조립품으로 불러서
메이트 같은 구속조건을 줘서
삐뚤어진 부품을 똑바로 잡은 다음,
파생 조립품을 만들면 됩니다.
(파생 부품도 ipt이고, 파생 조립품도 ipt 입니다.)
첨부된 zip 파일 안에는 동영상 avi 파일과
제가 사용한 중립 포멧인 igs 파일이 있습니다.
다음은 첨부된 동영상 설명입니다.
1. 새 조립품 시작.
2. [구성요소 배치] -> 중립 파일을 선택.
3. 조립품 [원점] 폴더 내의 기본 평면들의 [가시성]을 켭니다.
4. 기본 평면들이 너무 작게 보여서 [자동 크기 조절]합니다.
5. 조립품의 [XY 평면]을 [보기] 합니다.
흠… 부품이 많이 삐뚤어져 있네요.
부품의 기본 평면들은 조립품의 기본 평면들과 일치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부품이 부품의 기본 평면들에 대해서도 삐뚤어져 있겠죠.
6. 조립품 [원점] 폴더 내의 기본 평면들의 [가시성]을 끕니다.
7. 부품을 편집합니다.
8. [작업 평면] 시작. 오른쪽 클릭 > [명령 반복] 에 체크합니다.
작업 피처를 연속해서 많이 생성할 때 편리한 옵션입니다.
9. 옆면 두 개를 클릭해서 그 가운데에 [작업평면1] 을 생성합니다.
10. 두 모서리를 지나는 [작업평면2] 를 생성합니다.
11. 두 모서리를 지나는 [작업평면3] 를 생성합니다.
12. [작업평면2]와 [작업평면3]를 클릭해서
그 가운데에 [작업평면4]를 클릭합니다.
검색기를 보면 [작업평면2]와 [작업평면3]가
[작업평면4] 밑으로 들어간 걸 볼 수 있는데
인벤터 11부터 자동적으로 이렇게 됩니다.
검색기가 깨끗해서 좋죠.
13. [작업평면2]와 [작업평면3]의 가시성을 끕니다.
14. [복귀] 버튼을 눌러서 조립품 환경으로 돌아옵니다.
15. 조립품 [원점] 폴더 내의 기본 평면들의 [가시성]을 다시 켭니다.
16. 부품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속조건을 줄 수가 없겠죠.
구속조건을 주기 위해 부품에 오른쪽 클릭 > [기준]을 체크 해제합니다.
17. 부품을 드래그해서 더 이상 고정되지 않음을 확인합니다.
18. [구속조건] 시작. 3개의 메이트 배치하려고 합니다.
19. 부품의 좌측면과 조립품의 [YZ 평면]을 [메이트]합니다.
[적용] 버튼 > [메이트1] 생성.
20. 부품의 [작업평면4] 와 조립품의 [XZ 평면]을 [메이트]합니다
[적용] 버튼 > [메이트2] 생성.
21. 부품의 [작업평면1] 와 조립품의 [XY 평면]을 [메이트]하고,
[간격띄우기]란에 300 mm 를 입력합니다.
[적용] 버튼 > [메이트3] 생성.
[취소] 버튼.
22. [이 스텝은 동영상에 없음] 부품을 드래그 시도합니다.
부품이 고정된 걸 확인합니다. 완전 구속이 되었나 확인하는 겁니다.
23. 조립품을 저장합니다. muffler.iam 및 muffler.ipt 생성.
(muffler.ipt 는 삐뚤어진 부품입니다)
24. 새 부품 시작.
25. 스케치 모드로 시작했으면 [복귀] 버튼 눌러 스케치 모드 밖으로 나갑니다.
26. [파생 구성요소] 시작.
27. 방금 전 저장했던 조립품을 선택합니다.
28. [파생 조립품] 대화창의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29. 검색기에서 조립품 이름에 오른쪽 클릭 > [기준 조립품과의 링크 끊기].
30. 부품을 저장합니다. muffler_aligned.ipt 생성.
31. [이 스텝은 동영상에 없음] 이제 muffler.iam 및 muffler.ipt 를 삭제해도 됩니다.
(파생조립품인 muffler_aligned.ipt 가 조립품과의 링크를 끊었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32. 부품의 기본 평면들의 가시성을 켜고 부품이 똑바로 되었나 확인합니다.
33. [도구] > [거리 측정]으로 바닥으로부터 300mm 떨어졌나도 확인합니다.
위의 설명은 길지만, 사실 간단한 절차입니다.
즐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