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제가 일반적으로 작도해오던 모든 도면은
units
유형 – 십진
삽입축척 – mm
를 사용했습니다.
샘플의 그림은 1,000mm x 1,000mm 의 면적을 가진 정사각형이고 치수선도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십자선 우측하단의 툴팁(정확한 명칭을 모르겠습니다.)에 나오는 치수도 mm 단위 입니다.
오늘 어떤 사람이 화면에 mm 로 보여지는 숫자들을 보기 편하게 m 단위로 볼 수 있는 방법은
없냐고 물어오길래,
units 명령어로
삽입축척의 mm(미리미터)를 m(미터) 로 바꾸면 되지 않겠느냐고 답하였는데,
해본 사람의 대답은 바뀌지 않는다 였습니다.
.
.
.
사실
제가 샘플로 올린 1000 x 1000 상자 그림은
units
삽입축척 – m (미터)
에서 작성한 도면입니다.
작도시에 입력한 숫자도 화면에 등장하는 모든 치수, 십자선 우하단 툴팁, 커맨드창/특성창에서
보여지는 모든 숫자의 단위는 mm(미리미터) 입니다.
즉 m <-> mm 로 바꿔봐도 변하는 것이 없습니다.
units 명령을 실행 , 삽입축척을 변경후 ,,,,
삽입축척 아래의 샘플출력을 보면 원했던 방식으로 바뀔 것처럼 나타나지만,
실제 도면에서는 이 변경이 적용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길이 유형…….. 십진<->건축<->공학 … 등의 변경 및 정밀도 0.00000 의 변경은
바로바로 적용되는데,
삽입축척의 변경은 화면에도 작도방식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
제가 units 명령에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인지,
또, 그 질문자가 요구한 질문에 맞는 답은 units 가 아닌 다른 방식인 것인지,
고수님들께 여쭙습니다.
( * 우선적으로는, scale ,,, all ,,, 0.001 로 대답은 해주고 퇴근했는데,
집에 와서도 계속 마음에 남고 찝찝하네요.)
까미유Lv.0
Units 명령어 삽입축척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공유
units의 유형은 표시형식(십진,건축,공학 등) 차이이고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