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ult 4에 관해서 해결이 안되는 사항과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첨부한 이미지의 내용과 같이 vault의 공유파일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2. vault 4에는 하나의 프로젝트에 data를 저장할수 있는 용량이 최대 2GB로 알고 있었는데 얼마전에 2GB이상으로 조정할수 있다는 얘기를 들어는데 어떻게 하면 되는지 좀 알려주세요(vault 5에는 용량에 관계없다고 들었는데… 맞습니까?)
3. 첨부한 ipart파일을 보면 라이브러리에 올리기전에 데이블에서 d0를 10에서 20으로 바꾸면 ipart작성시 적용했던 스레드가 M5X0.8에서 M10X1.5로 변하는데 라이브러리에 올린후에 조립도에서 d0를 20을 선택해서 삽입하면 스레드부분에 여전히 M5X0.8로 변하지 않는데 이런부분을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요?
경험이 많은 유져들의 답변을 부탁합니다.
그런 횟수가 얼마나 될까요? 얼마 되지 않습니다. 그정도의 귀차니즘은 감수 하셔야 할 것같습니다. 제 경험담입니다. 즐벤~~
라이브러리 폴더를 프로젝트마다 따로 작성할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요.. 지정만 해주면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DB는 프로젝트 별로 관리 하시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프로젝트간 이동시 당연 로긴/로그아웃을 해야 하지만
3번은 아쉽네요. 10버전에서 가능하도록 패치가 나왔으면 좋겠는데…
그리고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만들면 매번 로그아웃 해서 다시 로그인해야 되지않나요? …..
2번의 경우는 복사설계는 하나의 프로젝트안에서만 가능하지 않나요 1번처럼 라이브러리를 폴더를 만들면 매번 프로젝트할때마다 라이브러리폴더를 작성하고 설정해야 되는데…
윤양수님 답변감사합니다.그런데 1번의 경우는 제가 잘못 이해했나 봅니다. 프로젝트간에 공유폴더가 생성되는줄 알았는데….
3번 답변 : 실제 설계가속기나 컨텐츠 센터에서 지원하는 파일들도 스레드부분에서 에러가 발생 하더군요.인벤터 10의 버그라고 합니다. 패치가 나왔다는 얘기는 못 들었고요 11에서는 이런 에러는 없다고 하네요!!
Vault 5는 제가 아직 써보질 못 해서….제 소견으론 만약 DB용량이 2GB 이상 넘어버린다면 속도문제도 무시 못 할 것 같은데요..
2번 답변 : 한 프로젝트에 DB 용량이 2GB를 넘어 버리는 경우는 흔치 않을 텐데요. DB 용량은 설계파일 용량과는 틀립니다. Vault DB 작성시 프로젝트 단위로 하신다면 크게 문제될 것 같진 않습니다.
1번 답변: 도움말에서 처럼 라이브러리 폴더에 따로 관리 하는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수정면에서나 파일 관리면에서 볼때…